촘스키, 누가 무엇으로 세상을 지배하는가
레미 말랭그레 그림, 드니 로베르 외 인터뷰 정리 / 시대의창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굳이 내 행동방식을 진보냐, 보수냐로 말하라고 하면 '생각은 진보로 행동은 보수로'라고 말하고 싶다. 이 책의 저자인 촘스키는 진보의 선봉이라고 말하고 싶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말했는데 모두 다 이해하진 못 했고, 정부를 바라보는 시각, 다국적 기업을 바라보는 시각, 언론을 보라보는 시각 정도만 이해했다. 그것도 전부 이해한 것은 아니지만. 셋의 공통점은 기득권층의 이익을 지속시키기 위해 방송이나 법 등으로 민중을 속인다는 것이다. 그러나 민중은 기득권층이 생각한 것처럼 멍청하지 않아 결정적인 순간에 기득권층에 저항한다는 것이다. 주로 기득권층에 해당되는 지식인의 임무는 이런 현상을 세상에 알려야 한다는 것이다.
   '나는 지식인인가'하는 질문을 던져 보았다. 책 내용에서 어떤 사람을 지식인이라 했는지는 명확하게 밝히지 않았지만 교육을 많이 받은 사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가르치는 사람, 영향력이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나도 지식인의 부류에 들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럼 '나는 촘스키가 말하는 지식인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가'하는 질문을 던져 보았다. 사실 나는 일상적인 삶에 파묻혀 사는 시간이 대부분이다. 내 문제는 먼저 사회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 무관심하다는 것이고, 실상 그 일에 대해 관심이 있다하더라도 바람직한 입장이 무엇인지 잘 모르거나 확신이 안 생긴다는 것이다. 문제를 발견했으나까 해결책도 마련해 보아야겠지. 매일 한겨레신문과 중앙일보를 표제만이라도 훑는 것, 그런 후에 사회에서 일어난 문제에 대해 바람직한 입장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아야겠다.
   이라크 재파병의 문제가 다시 화두에 오르고 있다. 명분 없는 전쟁에 힘을 실어주는 것은 분명 어리석은 일이다. 그러나 이미 현실은 국제사회에서 미국이 패권을 장악하고 있다. 약속을 지키지 않을 때, 외교적 불이익은 어떻게 감당해야 하나? 어쩌면 이런 생각조차도 언론의 선전에 세뇌당해 버린 것일까? 아~ 혼란스럽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