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분
파울로 코엘료 지음, 이상해 옮김 / 문학동네 / 200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장을 덮고 습관처럼 알라딘 리뷰를 훑어 본다.. 리뷰 106개. 추천순으로 검색해 보니 별두개, 별하나, 혹평, 추천 댓글 수십개.. 그리고 세번째쯤 별다섯개 짜리 리뷰가 달린다.. 리뷰를 올리는 독자들의 작가에 대한 엇갈린  선입견이 느껴진다. 작가에 대하여 알아야 그의 글을 이해할 수 있는 면이 있기는 하다. 하지만 그 이면도 있다고 생각한다. 그가 던지는 말이 극에 다다른 깨달음에서 우러나는 것이 아니었을지라도 혹은 작가의 표현이 그저 대중에 영합하려는 의도였을지라도, 그것이 활자화되어 아무리 보잘것 없을지언정 각자의 우주를 지닌 개인에게 던져진 이후엔 이미 작가의 의도나 그의 깨달음과는 상관없어진다는 말이다.

 

나는 파울로 코엘료라는 작가를 처음 만났고, 그의 다른 소설도 읽어 본 적이 없다. 그가 말하는 사랑과 성이 무엇이던 내가  글속에서 느껴는 그 단어는 일면의 주관성을 가질 수 밖에는 없다..

 

소설은 마리아라는 브라질 출신의 한 창녀의 성장담이다. 물론 처음부터 창녀는 아니었고 "돈,모험,남자"를 찾아 스위스까지 넘어와 댄서를 하다 일년동안 매춘을 하게되며 겪는 사랑과 성에대한 "모험"과 "남자"와 "돈"에 대한 이야기다. 

 

제목 11분에 대해 말하자면 이렇다.  p180 " 사람들은 세상 사람들이 모두 섹스만 생각한다고 믿고 싶어한다. 사람들은 욕망이 반짝이도록 만들기 위해 식이요법을 하고,가발을 쓰고, 미장원이나 헬스클럽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고, 야한 옷을 입는다. 그런 다음엔? 행동으로 넘어가야 할 시간이 오면, 11분 그것으로 끝이다. 창의성도, 환희의 절정으로 이끌어주는 아무것도 없다. "

 

어느 독자는 이 소설의 주인공이 창녀이고 그것을 미화시키는 것이 역겹고 부자화가를 만나 행복한 결말을 맞는 것이 하이틴로맨스라 했지만, 나는 이 소설이 상당히 관념적인 소설이라고 느낀다. 그런 스토리는 그저 껍데기일 뿐이다. 어떤 소설은 실랄한 사실만으로 독자에게 화두를 던지지만, 이 소설은 잠깐의 스토리와 대부분의 관념으로 일관하는 소설이다. 그리고 그 주제는 어쩌면 사람마다 자신이 가면(페르소나) 밑에 숨겨둔 혹은 차마 스스로도 들추어보지 못하는 그리고 혹은 온갖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기제에 망각해버린 내밀한 것이다.. "돈과 모험과 성" 

 

인간은 결국 모순적인 존재 아닐까. 아무리 아름다운 여자도 멋진 남자도 아침에 아랫배에 힘을 주며  똥을 싼다. 인간은 사색하고, 혁명을 이루어내고, 희생하는 존재이지만 동시에 몸으로 사랑하고 도둑질하며 거짓말하는 존재이기도 한것이다. 언제까지고 가면을 쓰고 살아갈 것인가.. 이 소설 "11분"은 창녀의 역겨운 이야기가 아니라 바로 내가 감추어둔 혹은 망각한 나의 이야기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 개정판, 서울대 교수진이 추천하는 통합 논술 휴이넘 교과서 한국문학
박완서 지음, 김소희 그림, 방민호, 조남현 감수 / 휴이넘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31년생 박완서의 성장담이다.. 식민치하와는 상관없이 아름다운 시골마을에서의 기억과 서울에서의 학창시절, 해방과 전쟁으로 이어지는 암울한 시대상이 아름다운 필치로 그려지고 있는 소설이다. 소설이라기 보단 회고담에 가깝다고 작가스스로도 밝히고 있지만 황당한 소설처럼 너무나 멀게만 느껴지는 이야기들이다..

 

그렇기에 식민치하와 전쟁은 어쩌면 잊지 말아야 하는 기억일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짝반짝 빛나는
에쿠니 가오리 지음, 김난주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라딘 외국소설 리뷰 3위에 오른 소설.. 알콜중독에 우울증이 있는 아내와 호모 남편과 남편의 애인이 등장하는 나로서는 다소 황당한 설정의 소설이었다..

 

사랑이라 불리우는 또 하나의 개연성과 그 안에 내포된 감정의 교류를 이 소설에서 읽어 낸다면 그로서 가치는 있겠지만 이 소설이 이렇게 많은 사람들에게 읽히고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는 사실에 놀라움이 생기는 것도 사실이다.. 일본 여류 특유의 문체와 느낌때문인가.. 유행인가..

 

여하튼 사랑은 말 그대로 국경(?)이 없는가 보다.. 사랑을 하며 살아가는 것이 제일 행복한 것이라는 건 두말할 필요없는 진리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0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군가 하였더니 내가 "낯설게 하기"란 말을 처음으로 접했던 "가면가리키며 걷기"의 작가다.  세권의 소설을 이주 동안 대여를 하였고 이 마지막 책의 반납기일이 내일이라서 어수선하게 마지막 페이지까지 읽어 낸다.. 그리고는 이제 습관처럼 "알라딘'의 리뷰를 훝어 보고 내 느낌도 돌이켜 보고..

 

블로그에 올리는 이런 리뷰는 무슨 의미가 있는걸까 문득 생각해 본다.. 내 블로그를 방문하는 익명의 방문자에게 이 책에 대해 설명하는 것일까.. 아니면 미래의 내 자신에게 남기는 메세지 인가.. 아니면 자기만족인가..

 

하긴 무슨 이유인들 상관이 있겠는가.. 잠깐 다른 세상을 보고 다른 생각을 하고 부지불식간에 나를 조금은 변화시키고 그래서 조금 더 행복해 진다면 그게 중요한게지. 서론이 길었다.. 본론은 짧게..

 

연애 소설같은 제목이지만 80,90년대 운동권 이야기다.. 작가의 연배가 나와 비슷한데 나 역시 그 시대를 살아 왔지만 운동권과는 거리가 멀었던지라 그 시절이 그렇게 다르게 살아질 수도 있었다는데 새삼 놀라움이 느껴진다. 머리가 아는 것과 실제 몸으로 아는 것은 큰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

 

그 시절에 누군들 승자이겠는가.. 골치 아픈 이론은 차지하더라도 인간이 품은 잔인함의 가능성은 언제나 나를 우울하게 한다.. 이념이 아무리 거창한들 우리가 회귀하여야 할 곳은 타인을 향한 한줌의 양심과 사랑과 동정이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의 궁전
폴 오스터 지음, 황보석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난 일주일은 어쩌면 똑같은 일상이었지만, 잠시 여행을 다녀 온 듯한 느낌이 든다.. 좋은 글을 만나는 건 그렇게 여행을 떠나는 것처럼 시작은 내가 하되 여행에서 생기게 될 우연스럽고도 운명적인 사건과도 같다.. 

 

지난날을 가만히 돌이켜 보면 그렇게 운명처럼 만났던 작가와 책들이 생각나는데, 고등학교 시절 읽었던 "젊은날의 초상"이나 "데미안" 그리고 스무살이 넘어 읽었던 "인간의 굴레"나 "오래된 정원" "호밀밭의 파수꾼"등이 떠오르곤 한다.. 

 

난 그 책들에서 인상깊었던 구절이나 글 자체의 내용보단 글속에 빠져드는 느낌, 강요하지 않고 조용조용히 건네는 일상의 화두들, 내밀한 자아의 고백들, 고독, 나를 관통하는 사랑과 인간사이의 교류등을 떠올린다..   그건 정말 행복한 경험인데 그렇게 내 자신과 소통되는 자신만의 언어를 가진 작가들을 만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달의 궁전"은 아주 오랜만에 나에게 그런 느낌을 되살려 주었다. 그동안 내 스스로가 여행을 떠나기 주저한 탓도 크지만 그렇게 오랫동안 잊고 있던 느낌을 다시 떠올리게 되니 여간한 즐거움이 아니다..  

 

행복이란 어쩌면 추억일지도 모르겠다. 지나고 나서야 그 때가 행복한 시절이었음을 깨닫게 되니 말이다. 폴 오스터가 "달의 궁전"에서 던지는 삶의 화두들은 그리고 삶에 응하는 개인의 태도들은 그 동안 나태하게만 살아왔던 나를 저 밑에서부터 흔들고 있다.. 자본이 말하는 나태가 아니라 정신을 방기하는 나태함을.. 

 

이제 마흔다섯권의 책 중에서 두 권을 읽었다.. 지금을 행복이라고 추억할 수 있기를 바랄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