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망가지기 쉬운 영혼들 - 우리가 무너진 삶을 회복하는 방식에 관하여
에리카 산체스 지음, 장상미 옮김 / 동녘 / 2024년 1월
평점 :
이주노동자의 딸, 젊은 유색인 여성
평생을 이방인으로, 서발턴으로 살아왔을 작가 에리카의 정체성은 이 두 문장으로 정리된다.
'이 책을 읽어야겠다'라고 결심한 결정적 계기는 바로 동녘 출판사의 서평이었다.
서평의 마지막 문구가 나의 마음을 앗아가버렸기 때문이다.
에리카의 말처럼, 우리는 모두 “먼저 온 모든 여성에게 빚을 졌”다. 이 책에는 살아남아 자신의 꿈을 이루고 다음 세대에게 더 나은 환경을 물려주고자 하는 소수자의 열망이 담겨 있다. 동시대를 살아가는 ‘생존자’라면 누구든 이 책에서 동질감과 용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멕시코 출신에 미국에 거주하는, 나와는 문화적 차이가 상당한 작가의 이야기.

책 앞 표지는 홀로그램이 씌워져 있어서 좀 더 신비로운 느낌이 났다.
방안에 하얀 천으로 싸여진 인물.
외국에서는 장기간 집을 비울 때
소중한 것, 망가지기 쉬운 것을 저렇게 하얀 천으로 씌워두어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모습을 보았었다.
그를 표현한 것일까,
아니면 방 안에 덩그러니 놓인 외로움을 표현한 것일까.
어쨌든 책 표지가 홀로그램 덕에 신비롭고 색다른 느낌이 나고 매력적이다.

책 날개 부분에는 역시 지은이와 옮긴이의 설명이 있다.
지은이의 이력도 제법 독특했지만 옮긴이의 이력이 더 특이하다!
아무래도 이번 도서는 '소수자'의 이야기를 담았다보니
시민사회 운동을 했던 경력이 있는 옮긴이의 세심함과 감성이 큰 장점으로 다가온 듯 하다.

일러두기에 적힌 글을 보면 번역가의 세심함이 더 잘 나타난다.
특히 3번과 5번!
인종차별적 언어와 여성차별적 언어에 대한 용어 정의를 일러두기에서 언급함으로써 독자들이 이 책을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책을 읽으면서 가장 많이 했던 생각은 "아 역시.. 문화적 차이...!" 였다.
참 공감이 많은 가는 문장도 있고
정말 이해도 안가는 문장도 있고
작가는 왜 이런 이야기를 할까,
이 이야기가 불편한건 작가와 내가 어떤 점이 달라서일까!
하는 생각들을 하며 읽다보니 작가와 끊임없이 대화하는 것 같아 더욱 재미있었다.
작가의 자전적 에세이다보니
책에서 그의 일상과 그 속에 담긴 그의 생각들을 많이 들여다 볼 수 있었다.
사실 사람들은 누구나 숨기고 싶은 나의 '흑역사'같은 부분들이 있기 마련인데
그런 부분들까지 이야기를 하고 있다는 점이 특히 인상적이었다.
무너진 삶을 회복하는 그의 방식을 책을 통해 드러낸
에리카 산체스의 <무너지기 쉬운 여성들>
다양한 여성의 삶을 이해할 수 있는 도서로 추천해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