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란 무엇인가
마이클 샌델 지음, 이창신 옮김 / 김영사 / 201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정의란 무엇인가? 옳은 것을 행하는 것인가 옳은것 자체인가? 옳다는 것은 누구에게 옳다는 것인가? 옳다고 느끼는 것일까 이성적으로 수긍이 가는것일까 아니면 정해진 법이나 사람에 대한 믿음에서 오는 순응인가? 등등의 껌종이 생각은 누구나 하는법. 역시 인기있는 넘은 무슨말을 하든지 쉽게 설명한다. 가식적이거나 학식있는 척 하지 않는다. 주제전달에 충실하다. 열정과 순수함이 느껴지면 변태일까? 어쨋든 그래서 열띤 토론도 가능. 그리고 아이들에게도 질문할 좋은 주제들이다.

행복, 자유, 미덕
많은 사람이 최대로 행복하기 위해선 개인의 희생도 감수해야 한다는 사람들이 있다. (공리주의-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이에 반해서 개인의 권리를 무엇보다 가장 중요시 하는 사람들이 있다. (자유주의). 그런데 개인의 권리 추구야 말로 결국에는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을 위한 길이라는 주장은 공리주의인지 자유주의인지? 밀의 공리주의적 자유주의는 공리를 위해 개인의 권리를 제한하는 타협점을 찾았고 칸트의 의무론적 공리주의는 인간의 순수이성에 기초해서 공리를 찾는것이라고 인터넷에 써있네? 공리하면 역시 붉은 수수밭. 그니까 동성애는 차별해서는 안되는 비정상 그룹이라고 저자도 말하는게 제자도?

칸트의 순수이성
가언명제가 아닌 정언명제만이 우리가 지켜야할 명제이며 자연법이 아닌 우리가 정한 선택과 결정을 지키는 것이 정의라고 하는데… 그러한 명제와 논리의 당위성은 어디서 나오는가? 유전자와 환경에 좌우되지 않는 자유로운 명제가 가능한 이유는?

권리와 자격
이 책과 매트리들리의 본성과 양육을 읽는다면 개인의 자격됨을 주장하는 건 무지 쪽 팔린 일이지.

결론
크리스챤은 하나님에서 정의를 찾는다. 그건 미덕에서 정의의 기준을 삼는것과 비슷. 하지만 진멸법 (가나안 족속은 양 새끼 까지 모두 죽이라는)을 생각하면 그냥 미덕과는 글쎄… 신앙이란 무엇일까?란 질문이 정의란 무엇일까 보다 크리스챤에겐 얼핏 먼저 인듯 싶지만 결국 그게 그것. “하나님을 믿는게 결국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다. 하나님을 믿을때 비로서 개인의 자격회복과 권리충족이 이루어진다. 하나님에 대한 순종만이 참된 미덕이다. 그래서 난 하나님을 믿는다” 라고 누가 주장한다면? 당장 인간의 생각보다는 하나님이 먼저라고 한다. 그리고 “난 그딴거 몰라요. 주님이 날 사랑하니까요”라고 하면 참 은혜로우면서 진부하지? 게다가 정의를 말하는데 바로 사랑 타령으로 넘어가는게 힘없는 권세없는 기독교다. 왜 하나님을 우선시 하는지 궁금해지시는 분들께 매트리들리식 해답을 드린다면. 사랑과 정의는 대립되는 것이 아니다. 사랑을 통한 정의 실천과 정의를 통한 사랑이 이루어져야 참된 기독교다란 말장난이 가능할듯. 그니까 정의로운 하나님을 사랑하고 사랑해 주신 하나님께 순종할 수 밖에. 점점 껌종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