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마태우스 > 7권에서는 겹치는 책이 많았으면!
장정일의 독서일기 6 범우 한국 문예 신서 56
장정일 지음 / 범우사 / 2004년 11월
평점 :
절판


 

장정일이 쓴, 여섯 번째의 독서일기를 읽었다. 장정일은 내가 좋아하는 작가다. 그런 것 치고는 희한하게, 난 그의 작품들을 거의 읽지 않았다. 시야 원래 읽지 않으니 그렇다쳐도, <너희가 재즈를 믿느냐> 말고는 그의 소설을 한편도 읽지 않았다니 신기하지 않는가. 참고로 <내게 거짓말을 해봐>는 3분의 1쯤 읽다가 말았다. 새디스틱한 행동이 나오면서부터는 도저히 책장을 넘길 수가 없었던 까닭이다. 그럼에도 내가 그를 좋아하는 건, 글에 대한, 그리고 이 사회에 대한 장정일의 철학 때문이다. 얼마 전 출간된 <생각>도 그렇고, <독서일기> 또한 장정일의 원칙과 철학을 알 수 있어서 좋았다.


사실 <독서일기>는 내게 많은 것을 가르쳐 준 스승이라 할 만하다. 내가 철이 없을 무렵, “책 리뷰 쓴 거 모아서 책이나 내볼까” 하는 생각을 잠시 했었는데, 그게 한심한 생각이라는 걸 깨닫게 해 준 책이 바로 <독서일기>다. ‘아, 내공이 대단한 사람이 아니면 독서일기를 쓸 수 없구나’ 하는 걸 알려준 이외에도 독서일기는 내게 많은 영향을 미쳤는데, 내가 지금 쓰는 서평-뭐 그리 대단한 건 아니지만-은 다 장정일한테 배운 거다. 특정인을 사숙하다보면 문체까지 따라하기 마련, 내 서평에 장정일의 말투가 반복되는 이유도 거기에 있다.

“붕어빵은 사치스러워 보이지 않는다고 말하는 필자는...”이란 구절은 내가 쓴 <기생충 제국> 리뷰의 “기생충이 가장 진화한 생명체라고 주장하는 저자는..”의 시조격이며, 내 서평 곳곳에서 찾을 수 있는 “이 소설은..인간 세상을 이렇게 설명한다”는 식의 말투도 사실은 독서일기에서 빌려온 거다. 따라한다는 말을 들으면 기분 나빠하는 나지만, 그 대상이 장정일이라면 오히려 즐거울 수 있다. 내가 달리 ‘빠’인가.


나름대로 신간을 열심히 찾아 읽는다고 생각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나와 장정일이 선택하는 책은 왜 이리도 다른가 싶다. 그가 기술한 책들이 내가 읽은 것들보다 훨씬 멋져보이는 건 오버라 해도, 다음에 나올 <독서일기 7>에서는 겹치는 책이 좀 있었으면 좋겠다. 하나 더. 색인이 있었으면 좋겠다. 독서일기에 나온 책을 나중에 읽고 “그때 장정일은 어떻게 생각했었지?”가 궁금해 독서일기 전체를 뒤질 때가 여러 번이었다. 딱 한번, 색인을 만든 적이 있긴 한데, 그 다음부터는 다시 없어졌다.


<상식 혹은 희망, 장정일>을 읽다가 마음아픈 적이 있었다. 가방끈이 짧은 장정일은 대학을 나온 다른 작가들에게 이렇게 말했단다. “나야 불러주는 곳이 없겠지만, 당신들은 어디 문창과 교수라도 되지 않겠냐” 왜 이런 말을 했는지는 기억나지 않지만-자신이 알뜰하게 살아야 하는 이유를 말하는 대목이었던가?-글쓰기에 대한 원칙이 어느 누구보다 확고한 장정일이 단지 가방끈 때문에 교수가 못된다는 현실이 마음 아팠다 (장정일이 교수를 원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요즘 장정일은 KBS <책을 말한다>의 사회자로 나온다. 아직 그 프로를 한번도 본 적은 없지만, 그의 진가를 알아보고 사회자로 등용해준 KBS에게 장정일의 팬으로서 감사드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