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말로 좋은 날
성석제 지음 / 문학동네 / 200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컨대 그는 유장한 다변가였고, 무심하게 쓰는 한편 연민으로 넘치는 사람이었다. 흥건한 말과 수다, 연민과 거리 의식이야말로 미천한 삶에 위대함을, 거대한 삶에 희극성을, 살벌한 '지역'의 풍경에 노스탤지어를 새겨넣을 수 있는 방법이었던 것이다. 그래서 그의 소설은 우스꽝스럽지만 아름다웠고, 사소하면서도 위대했으며, 수다스러우면서도 숭고할 수 있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윤리적인 한편, 즐거운 것이었다.

  그런 그의 문체가 눈에 띄게 짧아졌고, 메말라졌다. 연민도 사라졌다. 작가는 더이상 웃(기)지 않는다. 우리도 웃지 못한다...."

    - 황호덕(문학평론가), 절단(을 절단)하는 이사람('참말로 좋은 날' 비평) 중에서

 내가 알던(그의 책을 꽤 많이 읽었으니 '안다'라는 말을 써도 되겠지? 소설가와의 만남은 작품 하나로 충분한 법) 성석제는 '웃긴' 작가다. 웃길 줄 아는 작가다. 그의 만든 캐릭터는 익살스럽고, 그의 문체는 맛깔스러우며, 그의 단어는 '언어 유희'로 가득차 있었다. 그의 푸짐한 인상처럼 그의 소설은 푸짐했다. 맛있었다.  

  그런 그가 간만에 내놓은 소설이니, 당장에 안 사볼 수가 없었다. 그러나 웬걸? 이제까지와의 그와 다르다. 이제까지 그가 써왔던 소설과 달리 '참말로 좋은 날'은 사납다. 무섭다. 씁쓸하다. 살풍경이 그가 그린 사회 도처에 널렸고, 소설 속 주인공들은 매번 좌절모드다. '참말로 좋은 날'은 지극히 반어적이었다.  

  끝까지 웃음을 잃지 않았던 그 전과는 달리, 이젠 지난하고 비루한 삶 앞에서 솔직해 지기로 작정한 모양이었다. 속수무책 당하기만 하는 밑둥들의 삶이야  매번 그러했던 것이다만, '풍요로운 사회' 아닌가. 풍요한 사회에서 나만 풍요하지 않아 느끼는 소외감은 원래 웃음과 친하지 않은 사이다. 게다가 이 풍요가 그 자식들에게 대물림되고, 나의 소외감은 내 자식에게 대물림되는 사회에서라면 더욱. 그래서인지, '참말로 좋은 날' 안의 여러 소설에서 부를 세습한 태평한 자들이 곳곳에 보인다.  

  그래서 성석제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세상이 바뀌어도 사람은 그대로다. 그대로 있다는 기분이 든다. 생활과 방편이 바뀌어도 내가 아는 사람들 얼굴은 그대로다. 나아지는지 나빠지는지 알 수 없다. 빠른 건 언제나 같다. 내가 바뀐 것인가. 그럴지도 모른다. 바뀌는 게 당연한가. 그럴지도 모른다. 고마운 건 언제나 같다. 소설을 쓰게 해주는 존재들, 실재하는 또 실재하지 않는."(작가의 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