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국가·정체(政體) - 개정 증보판 헬라스 고전 출판 기획 시리즈 1
플라톤 지음, 박종현 옮김 / 서광사 / 200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혼을 더 올바르지 못하게 되는 쪽으로 인도하게 될 삶은 더 나쁜 것이라 하는 반면에, 혼을 더 올바르게 되는 쪽으로 인도하게 될 삶일 경우에는 더 나은 것이라 하면서 말일세. 그 밖의 모든 것에 대해서는 상관치도 않을 걸세. 살아서나 죽어서나 이게 최선의 선택임을 우리가 보았기 때문이네. 이 소신을 그야말로 금강석처럼 굳게 지니고서 저승(하데스)으로 가야 할 것이네. - 플라톤, 국가 p.663

-------------------------------------------------------------

  약1달여간을 지리하게 잡아온 플라톤의 '국가'를 다 읽은 후, 나는 잘짜여진 종교서적을 읽었다는 생각을 했다. 자연과 인간은 유기적으로 엮여 돌아가며, 따라서 자연의 원리 속에서 인간의 그것 역시 발견해야 한다는 그의 생각구조는 800여 페이지가 넘는 긴 분량을 통해 철저하게 유지되었다. 다른 것을 배제하더라도, 논리의 완결성만큼은 어느 누구도 함부로 깨기 어려울 듯 했다.
 
  특히, 후반부에 나오는 국가의 4가지 정체, 그 변화과정과 훗날 이것을 더욱 발전시켜 완결된 6정체론은 현재까지도 그 의의를 상실하지 않았다고 본다. 역사 속에서 가장 이상적인 정치체제로 평가받는 민주주의의 위험성, 그것으로 인해 참주정으로 타락할 수 있다는 그의 지적은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 이후의 히틀러체제를 완벽하게 설명해줄 뿐만 아니라, 요즘 유럽정치의 가장 위협적인 정치세력으로 주목받는 우파포퓰리즘의 대두까지도 예견하는 듯 하다.
 
  또한, 플라톤이 이상시하고 있는 철인통치를 위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교육'은 현재의 민주주의에서도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훗날, 아리스토텔레스가 주장하는 혼합정치체에서 '중산계급의 원리'를 그 전제조건으로 삼은 것과 마찬가지로, 교육을 통한 이성의 확보는 민주주의가 후퇴하지 않기 위한 필수조건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학 1학년 시기 막연하게 품었던 이상정치체, 철인정치는 플라톤의 그 당시 생각으로도 실현불가능한 것임이 확인되었다. 플라톤 스스로도 이후 저작에서 그의 이론을 후퇴, 법치를 차선으로 선택한 것에서 볼 수 있듯 철인왕은 그의 천재적인 형이상학에서 나온 것에 불과하다.
 
  한편, 철인왕의 가장 필수적인 덕목이라 할 수 있는 이성(reason)의 지나친 강조는 훗날 인간우월주의, 유럽중심주의의 원흉이 되었다고 본다. 근대 이후 홉스에 의해 인간의 이성이 계산능력(capaciting avility)으로 평가절하되기는 하지만, 홉스 역시 자신의 사회계약론에서 인간의 이성에 의한 국가건설을 말하고 있는 것을 볼 때 플라톤의 과오는 재평가 받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제1권부터 시작된 정의논쟁 중의 질문, "정의로운 사람이 실제로 잘 사는 것이냐?"의 대답을 '혼'의 문제 내지는 사후세계로 돌려버린 것은 끝끝내 진한 아쉬움을 남긴다. '혼', '사후세계'는 그의 철인통치론과 더불어 그대로 중세 '기독교사상'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었으며, 이것은 현재의 기독교근본주의까지 문제삼을 수 있다고 본다. 나의 정의에 관한 생각이 여전히 '트라시마코스'의 손을 들어줄 수 밖에 없는 결정적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국가 전체를 통해 나타나고 있는 '이상주의'는 여전히 놓쳐서는 안되는 것이라는 생각은 한달동안의 노력 끝에 얻은 소중한 결실이다. '현상은 현실주의로, 이념은 이상주의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