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설 공주 살인 사건
미나토 가나에 지음, 김난주 옮김 / 재인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작품은 스토리가 주인공이 아니다. 스토리는 어쩌면 많이 들어봤을 법한 범죄 이야기. 화장품 회사에 근무하던 아름다운 외모의 여성이 변사체로 발견되고 같은 회사에 근무하던 직원이 유력한 용의자로 몰리게 된다. 현재 근무하는 회사의 동료들은 물론이고 친구들과 떠나온지 오래인 고향의 주민들과 심지어는 부모까지 용의자에 대해 호의적인 것 같지 않다. 주변인들의 증언과 정황은 점점 용의자가 범인임을 나타내는데 정작 용의자는 마지막까지 등장하지 않는다. 그런데 다른 범죄소설과 달리 이 작품에는 혜성처럼 나타나 사건을 해결하는 탐정이나 신적인 추리력과 예지력으로 얽힌 실타래를 풀어나가는 누군가가 없다. 작가는 사건 자체보다 사건을 다루는 언론들의 자극과 특종에 집착하는 행태, 사건과 피해자 및 용의자를 둘러싼 주변인들의 기억과 진실 사이의 간극에 초점을 맞춘 것처럼 보인다. 작년에 보았던 영화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를 연상시키는 너가 기억하는 일과 내가 기억하는 일 사이의 엄청난 차이와 과연 진실은 너가 기억하는 것일지, 내가 기억하는 것일지 확신하기 어려운 과거의 조각들이 독자를 혼란스럽고 당황스럽게 만든다.


   가장 비난받아 마땅한 존재는 자극적인 가십 만들기에만 급급한 주간지의 악마의 편집이라고 할 수 있다. 사실관계가 파악되지 않은 친구의 카더라 소식으로 한 사람의 인생을 흔드는 천박한 기사를 퍼뜨리고 용의자로 몰린 사람의 친구들이 보내는 항의 편지조차 교묘한 가위질을 해대는 언론, 아니면 말고라는 생각으로 아무말 대잔치를 여과없이 날리는 SNS 관심종자들, 자신의 기억에 대한 불완전성을 추호도 의심하지 않을 뿐더러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것에 그 어떠한 죄책감도 갖지 않는 인간의 교활한 이중성 등, 이 책은 인간의 어두운 이면에 대한 고발로 가득한 작품이다. 뿐만 아니라 사람과 사람 사이의 상처는 어떻게 생기기 시작하는지, 왜 어떤 상처는 아물지 못하고 결국 큰 일이 생기고 마는건지에 대한 생각도 해보게 된다. 스토리의 개연성등이 개인적으로는 아쉬운 부분이지만 스토리에 대한 비중이 크지 않은데다 가독성이 좋아 그다지 흠이 되지 않은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