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막의 게르니카
하라다 마하 지음, 김완 옮김 / 인디페이퍼 / 2017년 9월
평점 :
절판


   미술과 비밀의 결합만큼 흥미로운 조합이 또 있을까. <다빈치 코드>를 처음 읽었을 때와 비슷한 흥분이 책 표지와 제목을 보는 순간 느껴진다. 세로 약 350센티미터, 가로 약 780센티미터의 거대한 캔버스에 그려진 피카소의 대작, 게르니카. 암막에 가려진 게르니카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 책을 읽기 전부터 이런저런 상상을 하게 된다. 르네상스로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미술은 꽤 여러번 반복해서 관심을 가져왔지만 현대미술은 아직까지 낯선 영역으로 남아있다. 게다가 피카소는 너무나 잘 알려진 예술가임에도 막상 피카소에 대해 말하라고 한다면 글쎄, 자신이 없어진다. 그의 대작 게르니카마저 자세히 들여다본건 이번이 처음일 것 같다.


   소설은 스페인이 내전으로 고통받고, 독일의 히틀러와 이탈리아의 무솔리니가 대변하는 나치와 파시스트가 전 유럽을 위협하던 1937년부터 제2차 세계대전이 막을 내린 1945년의 프랑스와 9.11 테러가 났던 2001년부터 2003년까지의 뉴욕을 배경으로 펼쳐진다. 파리만국박람회에 출품할 그림을 준비하던 피카소는 히틀러의 게르니카 폭격 소식을 듣고 전쟁의 비극을 담은 <게르니카>를 그리게 되는데, 모노크롬으로 그려진 그림은 피비린내나는 전투 장면도, 자극적인 색조도 사용되지 않았지만 그 어떤 검이나 무기보다 강렬하게 전쟁의 참상을 담고 있다.


"미술사상 가장 강렬하게 전쟁과 평화의 의미를 묻게 될 작품.

이것은 검이 아니다. 그 어떤 병기도 아니다.

노골적으로 말하자면 어두운 색의 그림물감을 칠한 캔버스. 단순한 그림 한 장일 뿐이다.

하지만 검보다도, 그 어떤 병기보다도 강하게, 예리하게, 깊게 인간의 마음을 도려내는.

세계를 바꿀 힘을 가진 한 장의 그림." (p133)


 파리만국박람회는 끝났지만 <게르니카>는 피카소의 아틀리에로 돌아오지 않는다. 그의 조국 스페인이 결국 프랑코 독재자의 손에 들어가자 그는 <게르니카>를 MoMA에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조건으로 이렇게 말한다.


"<게르니카>를 MoMA에 남겨주시오. 스페인에 진정한 민주주의가 돌아올 때까지."


    9.11 테러에 대한 보복으로 미국이 이라크에 무력을 행사하는 것을 승인한 UN 안보리의 결의를 발표하던 날, 안보리 회의장 로비벽에 걸려있던 피카소의 <게르니카>를 똑같이 그린 태피스트리가 암막으로 뒤덮인 사건을 계기로 피카소의 <게르니카>는 다시 한번 전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린다. <게르니카>를 1981년 스페인에 반환할 때까지 무려 44년을 보관해온 뉴욕현대미술관 MOMA의 큐레이터이자 피카소 전문가인 요코는 9.11 테러로 사랑하는 남편 이든을 잃고 '암막의 게르니카' 사건을 지켜보면서 피카소가 인류에게 전하고자 했던 반전과 전쟁의 비극에 관한 메세지를 다시 한번 일깨우고자 '피카소의 전쟁'이라는 특별 전람회를 기획하면서 이미 스페인에 반환된 <게르니카>를 다시 한번 뉴욕으로 가져오고자 한다.


  소설을 읽고나면 어디까지가 사실이고 어느 부분이 작가의 상상력인지 궁금해진다. 특히 <게르니카>의 제작 과정을 사진으로 담았던 도라 마르라는 여성이 궁금해진다. 피카소의 뮤즈이자 연인이었다는 사실 이외에 그녀가 어떤 사람이었는지 알고 싶어진다. 미술사를 전공한 작가라서 그런지 픽션과 팩트의 경계가 자연스럽다. 반복적으로 되풀이되는 사건이나 배경 설명이 집중을 방해하기는 하지만 전반적으로 재미있게 읽은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