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3년 세기의 여름
플로리안 일리스 지음, 한경희 옮김 / 문학동네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끔 신문에 100년 전 오늘 어떤 일이 있었는지에 관한 짤막한 기사들이 실린 것을 재미로 들여다봤던 기억이 난다. 저자도 그런 호기심에서 시작했을까? 약 100년전인 1913년 유럽에 어떤 이들이 살았고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를 1월부터 12월까지 마치 일기를 쓰듯 서술한다. 인물 개개인의 지극히 사적인 내용까지 포함된지라 역사책이라고 말하기는 어렵겠지만 당시 유럽의 주요 사건들과 인물들의 세부적인 내용까지 충실하게 복원한 작품은 1913년대로 향하는 타임머신에 탑승한 것처럼 그 시대를 이해하는데에는 부족함이 없어보인다. 하지만 이 책은 작가의 역량보다는 독자의 역량에 따라 읽는 재미가 확연히 구분되는 책이라 하겠다. 즉 아는만큼 보이는 책이라 하겠다. 1913년이라는 한 해동안 등장하는 인물들만 300명이 넘는데다가 거기에 당시 유럽의 주요 사건들까지 포함하면 웬만한 배경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는 한 쉽게 읽히지 않는다. 카프카, 릴케, 히틀러, 프로이트, 뒤샹, 쇤베르크, 에곤쉴레 등 비교적 내가 잘 알고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제법 흥미진진하여 내용에 푹 빠지게 되지만 상대적으로 그렇지 못한 인물들의 이야기에는 좀처럼 집중하지 못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치 우디앨련의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를 연상시키는 구성과 이야기들은 1913년으로 당장이라도 가고 싶은 욕망을 부추긴다. 1914년에 들이닥친 제1차 세계대전이라는 비극을 알고 있는 나로서는 끊임없는 전쟁의 위협에 시달리면서도 더 이상은 국제적인 전쟁이 일어날리가 없다고 말하는 불안한 확신을 믿지 말라고 말해주고 싶고, 카프카에게 펠리체에게 보내는 청혼편지를 왜 그따위로 썼는지 물어보고도 싶고 도망가는 히틀러를 붙잡아 탈영범으로 넘겨주고 싶다는 생각도 해본다. 1913년이 좋은 시절의 마지막 해가 되리라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않았을 그들의 세계를 훔쳐보고, 유명인들의 찌질한 비밀에 실소도 날려보고, 희비가 엇갈리는 운명을 살짝 바꿔놓고 싶은 유혹도 느끼면서 관음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책이다. 게다가 서로 무관한 듯 하지만 어디선가는 연결되어있는 사건들을 배열하고 이어붙이는 작가의 탁월한 문학적 재능이 책의 난이도로 인한 난독을 해소시키는 윤활유 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너무 겁내하지 말고 도전해봐도 좋은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