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피엔스 (무선본) - 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 인간 역사의 대담하고 위대한 질문 인류 3부작 시리즈
유발 하라리 지음, 조현욱 옮김, 이태수 감수 / 김영사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이토록 냉정한 시각으로 인류의 역사를 되짚어 본 작가가 있었을까. 사피엔스라는 현 인류의 발자취를 따라오면서 어떠한 동정심도, 어렴풋한 희망도, 그럴싸한 해결책도 제시하지 않는다. 대신, 우주 탄생의 역사에 비하면 겨우 10만년이라는 짧은 역사를 지난 현 인류에게 우리는 뻔뻔스럽게도 '사피엔스' 즉 '슬기로운 사람'이라는 명칭을 붙이고 어떤 식으로 '신'이라는 목표를 향해 달려왔는지 대한 기막힌 이야기를 들려준다. 살인 잔치를 벌이던 왕을 개과천선시킨 세헤라자드의 천일야화보다 더 흥미진진하다고 할까. 이야기는 크게 네 축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인지혁명, 농업혁명, 인류의 통합 그리고 과학혁명의 시대까지를 살아오면서 사피엔스가 어떻게 진화했는지, 어떻게 살아남았는지를 이야기하면서 아마도 현재의 사피엔스가 가장 궁금해할 질문을 던진다. '그리고 그들은 영원히 행복하게 살았다'가 될런지, 다음 인류가 '호모 사피엔스의 종말'을 지켜보게 될런지 말이다. 책은 오래전에 구입해놓고 여러가지 이유로 읽을 엄두를 내지 못하다가 후속작 <호모 데우스>의 출간 소식을 듣고 이제는 읽어야겠다고 책을 집어들었다. 의외의 가독성에 놀라고 의외의 재미에 놀라고 소설가를 뛰어넘는 문장력에 감탄한다.


   7만년전 인지혁명을 겪은 사피엔스는 수렵채집인으로서 멸종의 제1의 물결을 담당한다. 인간이 초래한 멸종의 대홍수에서 세상의 거의 모든 대형동물들은 사라지고 '노아의 방주'에 들어간 존재는 '인간 자신과 방주에서 노예선의 노잡이들로 노동하는 가축들'이라는 표현이 인상적이다. 수렵채집인이었던 시기까지는 인간이 250만년간 먹고 살기 위해 사냥했던 동물과 채집했던 식물들의 생명에 인간의 개입은 없었다. 하지만 농업혁명으로 인간이 한곳에 정착하게 되면서 사피엔스는 거의 모든 시간과 노력을 몇몇 동물과 식물 종의 삶을 조작하는데 바치고 있으며 제2의 멸종의 물결을 가져온 그 행위는 오늘날까지 이어진다. 노아의 방주의 노잡이로 끌려온 가축에게 농업혁명은 끔찍한 재앙이었다. 육즙이 흐르는 스테이크를 두고 사피엔스는 진화적 성공을 자축할지 모르나, 사피엔스에게 육즙이 흐르는 스테이크가 되기 위해 개별 개체들이 겪는 고통은 인간의 만족도에 비례한다. 먹을만큼만 사냥하고 채집하던 인류에게 주어진 잉여 식량의 생산이라는 소수의 엘리트들을 위한 노동은 농부들에게는 스트레스였고 역사책에 기록된 소수의 엘리트들에 관한 이야기는 인류의 90퍼센트는 제외된 기록이다. 상상 속의 질서 덕분에  가족 혹은 씨족, 부족 개념을 인류 대통합으로 바꾼 사피엔스는 신을 창조하지만 과학혁명으로 가능해진 길가메시 프로젝트를 통해 스스로 신이 되고자 한다. 우리는 그 결말을 아직 알지 못한다. 그러기에 그 결말을 우리가 원하는대로 쓸 수 있다는 어이없는 희망을 품어도 되는 것일까? 작가의 차기작 <호모 데우스>는 '신이 된 인간'이라는 뜻이다. 호모 사피엔스에서 호모 데우스로의 변경은 사피엔스의 종말일까, 사피엔스의 진화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