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덟 건의 완벽한 살인
피터 스완슨 지음, 노진선 옮김 / 푸른숲 / 2022년 4월
평점 :
와~ 엄청 대박 반전! 막 이런 작품은 아니다. 예전에는 추리 소설이 독자가 범인이 누구인 줄 알아채지 못하게 꽁꽁 숨기는 것이었다면 어느 순간, 처음부터 범인이 누구인지 알려주고 왜, 어떻게 살인을 했는 지에 방점을 찍는 작품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그러니까 '누가' 했는지 보다는 '왜'에 초점을 맞춘 심리를 다루는 작품들이 더 스릴감이 느껴졌다. 그러다가 묻지마 살인 같은 것이 등장하면서 '왜'는 더 이상 의미가 없어지고 사이코패스니 소시오패스니 하는 자들이 등장했으나 내 취향은 여기까지는 아닌 듯 하다.
이 소설은 위 세가지 요소를 모두 섞어 놓은 듯한 느낌이다. 처음에는 클래식 추리 소설의 구성을 따르는 것처럼 보인다. 추리소설 전문 서점을 운영하는 주인공이 어느 날 FBI의 방문을 받는데, 누군가가 주인공이 아주 오래 전에 서점 블로그에 올린 '여덟 건의 완벽한 살인'을 다룬 작품들 속에 등장하는 살인을 모방하고 있는 것 같다는 것. 그래서 주인공은 과거 그가 그런 내용의 블로그를 올리게 된 이유를 회상하면서 그가 인용한 여덟 편의 작품이 등장한다. 아가사 크리스티 작품을 제외하면 나는 읽어 보지 않은 작품들이다. 클래식 작품들에 대한 저자의 개인적인 선호도 같은 걸 엿볼 수 있다(오마쥬라 하기에는 좀 약한 듯)
주인공과 FBI는 여덟 편의 작품들을 읽으면서 거기에서 힌트를 찾아보기로 하는데 여기서부터 두번째, 누가 살인을 했는지를 알려줘 버린다. 근데 일부만. 그러니까 살인자가 한 사람이 아니라는 뜻이다. 추리소설 스포는 몰매맞을 일이니 더 이상 자세하게 이야기는 하지 않겠지만 중반 이후로 넘어가면 이 살인자들이 소시오패스들이 아닌가라는 매우 강한 느낌이 든다.
독창적인 작품이긴 한데 약간 애매한 느낌? 저자의 전작들을 보니 제목들이 다 특이하고 인터넷 서점 둘러보다가 나의 추천마법사에 여러 번 등장했던 작품들이 많았다. 전작들 몇 권을 더 읽어보고 나서 작가의 작품을 계속 읽어볼 지 말 지 생각해 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