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둠의 미술 - 무섭고 기괴하며 섬뜩한 시각 자료집
S. 엘리자베스 지음, 박찬원 옮김 / 미술문화 / 2023년 1월
평점 :
종교에서는 인간의 원죄로 인해 죽음, 질병을 비롯 온갖 나쁘고 불길하고 어두운 것들이 필연이 되었다고 말한다. 그런데 이러한 어두움이 없다면 밝음에 대한 정의가 있을 수 있을까. 사실 어떻게 보면 말장난 같지만 어두움과 공포 같은 평소에 마주하고 싶지 않은 것들이 밝고 긍정적인 것 못지 않게 우리네 인생의 큰 영역을 차지하고 있지만 우리는 그걸 그저 인정하고 싶지 않을 뿐이지 원래 이 우주는 어둡고 추운 공간이다.굳이 종교를 언급하자면 천지창조 전의 세상을 생각해 보라. 어둠이 먼저라는 사실. 그러니 천대받는 어둠은 억울할만도 하다.
하지만 이 어둠을 자의건 타의건 의식 속에서 불러내어 시각적으로 표현해 낸 이들이 있었으니 바로 예술가들이다. 우리는 흔히 천재성을 지닌 예술가들은 정신이 어딘지 남다르다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실제로 극도의 창조성을 발현하고 인간의 본질을 탐구하고자 했던 예술가들이 정신병을 앓았던 경우가 많고 삶의 마지막을 자살로 마감한 경우 역시 많았다는 걸 보면 인간의 저 내면 깊숙한 곳에는 꽁꽁 숨겨둔 어두움이 꽈리를 틀고 있는게 아닌지 궁금해진다.
그렇다면 인간에게 어두움이란 무엇일까. 책에서 정의하는 어두움을 정리해보자면 우선, 정신의 혼란스러움과 고통, 그리고 그로인한 악몽이나 환청 및 환상을 들 수 있다. 죽음과 질병 역시 인간이 피하고 싶은 어두움이다. 인간이 저지르는 범죄 역시 여기에 속한다. 이것들이 인간이 겪는 직접적인 어두움이라고 한다면 인간은 자신을 둘러싼 세계에서 또 다른 어두움을 발견하고 호기심을 갖는다. 자연의 어두운 면과 신, 괴물, 악마, 유령 같은 초자연적 존재들. 그리고 금지된 마법과 심령술 같은 것들에 왜 인간은 관심을 가질까.
이 책은 예술가들이 남겨놓은 150여점의 그림을 통해 인간이 어떻게 어둠이라는 것에 침잠해 왔는지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백마디 말보다 한 점의 그림이 더 많은 이야기를 전해준다. 미술에 관심이 많은 독자라면 많이 봐왔던 그림들도 있지만 어딘가에 숨겨져 있다가 어둠에 관심이 있는 이들에게만 몰래 보여주는 듯한 충격적인 그림들이 더 많아서 몰입도가 굉장하다. 아무래도 나 역시 '어두운 반쪽'에 나도 모르게 관심이 있었던 모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