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과 우연들
김초엽 지음 / 열림원 / 2022년 9월
평점 :
요 몇 년동안 '김초엽'이라는 이름을 진짜 많이 들었다. '혜성같이 나타난'까지는 아니라도 한국 SF 문학의 신동 심지어 다작을 하는 작가. SF와 판타지 작품을 좋아하지만 믿을만한 작가의 작품도 아직 못읽고 있는 것이 수두룩한지라 한국 작가 그것도 젊은 작가의 작품에 선뜻 손이 가지 않아 (게다가 난 베스트셀러 알러지가 있는 지라) 김초엽 작가의 신간이 나올 때마다 인터넷 서점에만 들어가면 SF를 좋아하는 나에게 추천추천을 해댔어도 눈 질끈 감고 한번도 안읽었더랬다.
어라, 그런데 이번에 이 작가의 에세이가 나왔다. 그것도 본인의 읽기와 쓰기에 대한 에세이라니 이 책으로 김초엽작가에게 입문해보아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작가가 어떤 책을 어떻게 읽고 어디서 쓰기의 영감을 얻는지 알게 되면 새로운 작가의 작품에 입문하기가 훨씬 쉬워진다. 실제 SF를 쓰는 작가 중에는 과학자이거나 과학 관련 일을 하거나 아니면 과학자를 부모로 둔 작가들이 꽤 된다. 김초엽 작가 역시 과학을 좋아했는데, 과학을 좋아해 SF 작가가 되었는지, SF를 좋아해 과학에 관심이 있었는지는 의미없는 질문일 것이다.
앞 부분 몇 장만 읽었을 뿐인데도 아..이 사람은 작가의 운명으로 태어났구나라는 확신이 들었다. 그것도 확실한 취향과 세계관을 가진. 본인 스스로는 '밑천이 없다는 두려움'에 시달린다고 했지만 그렇지 않은 작가가 있으랴. 흔히 우리는 내가 읽을 책을 선택한다고 생각하지만 작가는 책과 '우연히' 만난다고 말한다. 평소에는 전혀 관심도 없던 분야의 책을 읽게 되는 건 순전히 '우연한 충돌'의 결과물이라고. 책을 좀 읽는 독자라면 아마도 충분히 공감하는 표현일 것이다. 갑자기 뜬금없이 호기심이 동하는 책이 있다. 김초엽작가는 그런 책들을 대부분 쓰기를 하면서 만나지만 쓰지도 않는 나는 그보다 훨씬 우연한 순간에 만난다. 예를 들어 한번도 출간된 책을 읽지 않은 내가 김초엽 작가의 에세이를 읽으면서 그 안에 나오는 어떤 책을 장바구니에 넣게 되는 그런 순간이다.
'쓰는 사람'으로서의 책읽기가 어떠한 지 알게 되었다. 특히 소설을 쓰던 작가가 소설이 아닌 논픽션 그것도 인문학 장르의 글을 쓰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다. 공저이긴 하지만 자신의 영역을 확장해 가는 것, 자신이 익숙한 분야가 아니더라도 관심있는 분야에 도전하는 것, 자신의 글에 대한 이런 고민이 있었기에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작가가 되었나보다. 이 책과 나와의 이런 우연이 김초엽작가의 SF에 입문하는 계기를 마련해 준 듯 하다. 이런 우연은 언제나 환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