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편함 속 세계사 - 129통의 매혹적인 편지로 엿보는 역사의 이면
사이먼 시백 몬티피오리 지음, 최안나 옮김 / 시공사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른 이의 편지나 일기를 몰래 본 적이 있는 사람? 친구 관계에 민감하던 시절 나도 그런 적이 있었던 것 같다. 그만큼 편지는 일기와 더불어 굉장히 사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물론 공적인 목적으로 주고 받는 서신도 있겠지만 그런 건 편지라는 느낌이 강하지 않다. 요즘은 뭐든지 이메일, 문자, 메신저 등으로 주고받으니 편지 쓸 일이 없지만 지금도 가지고 있는 학창 시절 친구들끼리 주고받은 편지나 엽서를 볼 때면 유치하면서도 그 땐 이런 생각과 감정을 가지고 있었구나를 알 수 있어 나의 일부분이 보존되고 박제된 느낌이 들어 묘하다. 이렇듯 편지는 사적이면서도 의도되지 않게 보존되어 공개되는 경우가 생긴다. 그로 인해 우리는 이렇게 은밀한 역사의 한 부분을 알게 되는 것이다.


   <우편함 속 세계사>는 129통의 편지를 통해 역사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사랑고백이나 가족간의 편지 같은 지극히 개인적인 기록인 경우도 있고 정치적 목적을 가지고 쓰여진 공적인 기록인 경우도 있으며 소위 알만한 사람들이 아주 유치하게 서로를 비방하고 비아냥거리는 재미있는 편지들도 수록되어 있다. 생의 마지막에 아끼는 이들에게 보내는 작별의 편지나 역사의 방향을 바꾸게 되는 결정적 한 방의 편지들도 있다.


   단순히 편지만 수록되었다면 앞 뒤 맥락이 없어 이해하기 힘들었겠지만 저자는 친절하게도 편지 공개에 앞서 이 편지가 어떤 상황에서 쓰여졌는지, 편지를 주고받는 당사자들은 어떤 관계였는지, 그보다 앞서 역사에는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를 알려주고 있어 조금이라도 세계사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다. 놀라운 사실은 편지라는 수단이 무려 3000년 전인 기원전 1370년에도 사용되었다는 점이다. 물론 종이가 아닌 점토판에 새겨지긴 했지만. 그 내용을 보면 바빌로니아 왕이 이집트 파라오에게 보낸 것으로 파라오의 딸에게 한 청혼을 거절당한 것에 대한 모욕감을 분출하면서 자신에게 금을 주면 자신은 기꺼이 자신의 딸을 그에게 주겠다는 왕들끼리의 서신치고 웃기는 것 같지만 그 때는 그런 일로 전쟁도 하고 했으니 뭐. 그리고 가장 최근의 편지로는 2018년 트럼프가 김정은에게 보내는 편지가 실려 있어 흥미롭다.


   편지들을 읽다보면 역사라는 것이 작은 것 하나로 방향이 바뀔 수 있다는 걸 알게 된다. 물론 여기 수록된 편지들이 많은 분량도 아니고 사적인 편지들도 많이 있지만 지극히 개인적이라고 생각했던 편지 속에서 역사의 일면을 읽을 수 있다는 점이 새로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