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 입 크기의 프랑스 역사 - 혁명과 전쟁, 그리고 미식 이야기
스테판 에노.제니 미첼 지음, 임지연 옮김 / 북스힐 / 2022년 4월
평점 :
음식은 중요하다. 왜? 먹지 않고 살 수는 없으니까. 그런데 단지 그 이유뿐이라면 음식은 그저 살아있는 존재의 생명을 유지시켜주는(물론 가장 중요한 기능이긴 하지만) 단순한 수단 이상의 존재감을 뽐내지 못했을 것이다. 역사적으로 보았을 때 음식은 그 어떤 것보다도 확실한 정치적 도구이자 사회 통제의 수단이었다. 음식으로 사람을 평가하기도 하고(지금도 어떤 음식을 먹는 국민이라며 미개하다, 야만하다는 이런 표현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사회계층을 나누는 계급장의 역할을 하기도 했으며 인간의 모든 역사 속 발자취마다 음식이나 식재료가 관련있지 않는 경우가 드물었다. 지금도 그렇지만 한 나라를 대표하거나 상징하는 음식의 기원을 두고 우리가 먼저네라며 싸우는 모습은 역사 속에서 수차례 반복되는 에피소드이다.
이 책은 바로 인간의 역사에 얽힌 음식 이야기이다. 제목도 센스있다. '한 입 크기의 프랑스 역사' 원제로 하면 'A Bite-Sized History of France'. 프랑스의 역사 중 먹는 것과 관련있는 내용을 다룬다는 걸 의미하는 동시에 한 장 한 장의 내용이 짤막하다는 의미로 '한 입'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저자의 이력도 특이하다. 부부 공저인데 남편은 '치즈 전문가'이고 아내는 '전쟁학' 전문가란다. 각종 전쟁과 내란 혁명으로 얼룩진 프랑스와 미식의 나라라는 프랑스를 조합한 이 책의 내용이 당연할 수 밖에.
책이 진짜 재미있다. 내가 세계사를 다룬 책을 좋아하기도 하지만 여기에 먹는 이야기가 끼어드니 환상의 궁합이다. 글의 서두에서도 언급했지만 음식만큼 정치적인 것도 드물다. 그러다보니 책에 언급된 역사의 대부분은 정치나 전쟁과 관련성이 많지만 전혀 지루하지 않다. 음식이라는 존재가 치고 들어오는 순간 음식의 역사가 된다. 저자는 한 장에 한가지의 음식이나 식재료등을 다루고 있는데 그것의 기원에 얽힌 전설과 진실을 비교하는 것부터 시작해 역사의 한 페이지가 어떻게 프랑스 미식의 한 페이지와 연결되는지 이야기한다. 이 책은 재미없을 수가 없는 책이다. 물론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이 좀 다를 수는 있으나 음식에 방점을 찍고 읽으면 좋겠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음식의 기원을 두고 싸우는 짓이 얼마나 무의미한 지 알게 된다. 특히 유럽처럼 셀 수도 없을만큼 많은 전쟁으로 영토가 뒤섞이고 사람도 뒤섞인 경우에는 더더욱 말이다.
이 책은 책상이 아닌 식탁에 두어야 할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