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의 은밀한 감정 - Les émotions cachées des plantes
디디에 반 코뵐라르트 지음, 백선희 옮김 / 연금술사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음악을 들려줬더니 식물이 더 잘 자라더라, 좋은 말을 해줬더니 더 쑥쑥 크더라라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물론 식물도 감정이 있다는 것도 알고 자신들의 생존과 번식을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동원한다는 것도 알고 있다. 그런데 실제 (집에 작은 화분들이 몇 개 있기는 하지만) 이런 것들을 관찰하거나 실험해 볼 생각은 해본적이 없어서 크게 와닿지는 않았는데 이번에 이 책을 읽고 정말 깜놀했다!


   무엇보다 인간 이전에, 그것도 수십억년 이전에 이 지구상엔 식물이 먼저 존재했다는 그 당연한 사실에 새삼 놀랬다. 그렇다면 인간은 식물의 후손인 셈이다. 책에서는 인간을 '식물의 꿈'이라고 부른다. 의미인즉슨, 식물이 후손을 보장하기 위해 자기들에게 필요한 곤충이나 동물들을 상대로 유혹의 기술을 발휘한 것처럼 인간에게도 인간이 좋아할법한 향기나 색채, 모양 등으로 인간을 조종한다는 뜻이다. 실제로 인간은 전 세계에 식물의 종자를 퍼뜨리고 가꾸고 있으니 일리 있는 말이다. 심지어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서는 식물들이 '감정과 감탄과 예술작품에 대한 영감을 주기 위해 인간을 만들었다'는 내용이 나온다고 하니 (나 분명 변신 이야기 읽었는데, 왜 기억에 없지?) 식물이 만물의 영장이지 싶다.


   위 내용은 이 책에서 언급된 식물의 놀라운 특성 중 하나에 불과하다. 그저 그럴 것이다라는 이론이 아니라 실제 실험, 그것도 어쩌다 한번이 아닌 반복적인 실험으로 증명된 식물의 다양한 감정과 자극에 대한 반응, 그리고 놀라운 지능에 대한 이야기가 가득하다. 특히 뇌파 측정기에 연결된 식물이 인간의 행동에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관한 실험은 정말 놀라웠다. 인간이 식물을 괴롭힐 생각을 했을 때 식물이 '의도'를 파악하고 탐지기 바늘이 치솟는 부분은 읽으면서도 믿기 어려웠다. 그러니까 식물이 자신이 협박받는다고 생각할 때마다 특정 반응을 보이는데 이 정신적 파장의 존재는 언제든지 실험으로 재현가능하다고 한다. 와..앞으로 식물 앞에서 말조심뿐만 아니라 생각도 조심조심해야지..


   또 한가지 의미심장했던 부분은 바로 식물의 이런 경이로운 특성들을 최대한 숨기고 싶어하는 다국적 제약회사들의 존재이다. 자신들이 만든 제초제나 농약같은 약물로 인한 이권을 지키기 위해 식물에까지 특허권 주장을 하는 그들의 욕심은 상상을 불허한다. 이왕 우리가 '식물의 꿈'이라면 악몽말고 좋은 꿈이 되도록 해보자. 저자가 글을 되게 재미나게 쓴다. 알고 보니 소설가다. 이 분 소설도 재미있을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