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래스 호텔 스토리콜렉터 101
에밀리 세인트존 맨델 지음, 김미정 옮김 / 북로드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8년에 세상을 떠들석하게 만들었던 폰지 사기 사건을 바탕으로 쓴 소설이다. 폰지 사기란 실제 돈을 굴려서 투자자에게 이자나 배당금을 지급하는 정상적인 투자가 아니라 신규 투자자의 돈으로 기존 투자자에게 수익금을 지급하는 일종의 다단계 금융 사기이다. 실제로는 그 어디에도 투자를 하지 않으면서 돈 넣고 돈 먹기 같은 쉽게 돈을 벌고자 하는 허황된 소망을 가진 이들의 심리를 이용한 사기 수법인데 그 원조가 미국의 '찰스 폰지'라는 사람에게서 시작되었다고 해서 폰지 사기라고 불리운다. 2008년에 있었던 사건은 한때 나스닥 증권거래소 위원장까지 역임할 정도였던 인물이었다고 하니 돈과 명성이라는 것의 가면이 주는 위험성에 대한 경고는 아무리 해도 지나치지 않은 듯 하다.


   그런데 이 소설은 단순히 폰지 사기에 관한 내용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폰지 사기는 그저 소설의 배경이 되었을 뿐 폰지 사기에 당한 이들의 절박함을 이야기한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사기꾼들의 돈잔치에 관한 이야기도 아니다. 한마디로 정의하기는 어렵지만 인간의 삶이란 것이 한 끗 차이로 어떻게 180도 달라질 수 있는지에 관한 다소 복잡한 이야기랄까.


   제목인 '글래스 호텔'은 호텔의 이름이 아니다.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주요 인물들이 다양한 위치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엮이게 되는 장소는 바로 캐나다 밴쿠버섬 북단에 있는 황무지에 세워진 오성급의 카이에트라는 호텔이다. 휴대폰신호조차 잡히지 않는 이 곳은 주로 부유한 이들이 휴식을 위해 머물다 가는 곳으로 오로지 호텔에서 제공하는 수상택시로만 닿을 수 있는 곳이다. 바다와 숲으로만 둘러싸인 황무지에 찾아오는 이들은 정작 황무지로 들어가는 건 원하지 않는다. 황무지가 시작되는 곳인 카이에트호텔의 로비에 앉아 통유리를 통해 안쪽에서 황무지를 바라볼 뿐이다. '글래스 호텔'이라는 소설의 제목은 바로 여기에서 나온 듯 한데, 유리라는 것이 주는 다양한 상징성을 내포한다고 볼 수 있다. 유리를 통해 보는 세상은 왜곡되어 보일 수도 있고 삶의 이 쪽과 저쪽을 나누는 경계선이면서도 쉽게 깨지는 속성으로 인해 위태위태한 삶의 이중적인 모습을 상징하기도 한다. 실제로도 작가의 작품 속 인물들 중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되고 안정된 삶을 살아온 이들은 없다. '깨진 유리조각을 삼킨' 이들의 삶은 마치 폴이 작곡한 실험음악처럼 기괴한 불협화음을 내지만 사람들은 이러한 기괴함과 예측 불가능한 삶의 변덕에 끊임없이 꼬임을 당한다.


   결국 폰지 사기 주동자들은 그에 맞는 형량을 살고 나오거나 감옥에서 삶을 마쳤지만 사기를 당한 이들의 삶과 주변 인물들은 그 충격을 고스란히 감내해야만 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수십년이 지난 이후에는 그저 파티의 안줏거리로 전락하고 사람들은 여전히 헛된 욕망을 꿈꾸고 가지지 않은 것을 탐한다. 그렇게 삶은 지치지도 않고 깨진 유리창을 원복시키면서 또 다른 목표를 향해 전진할 것이다. 작품을 다 읽고 나니 갑자기 이게 뭔가 싶다. 특별히 재미있지도 흥미롭지도 않은 소설인데, 삶을 돌아보게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