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견자들 1 - 시간, 지구와 바다 발견자들 1
대니얼 J. 부어스틴 지음, 이경희 옮김 / EBS BOOKS / 2022년 3월
평점 :
절판


   1권만 해도 방대하다. 현재를 사는 우리는 너무도 당연하게 여기지만 생각해보면 어떤 것에 대한 개념이나 관념들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아니 인류에 의해 '발견'되었는지 궁금해지는 순간들이 있다. <발견자들> 시리즈는 총 3권으로 되어있다. 1권에서는 주로 경험과 탐험에 대해서 다루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인류의 생활을 규칙적으로 만들고 시작과 끝이라는 개념을 갖게 해준 '시간'의 발견과 도입, 그리고 공간 그러니까 지구가 어떻게 생겼는지에 대한 호기심과 미지의 영역에 대한 욕망이 가져온 탐험을 통한 지구와 바다의 발견에 대해 이야기한다. 여기서는 발견 그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 그 발견에 관한 도덕적 평가는 하지 않는다.


   첫번째 주제인 시간의 발견은 특히 몰입도가 높았다. 인간은 도대체 언제 왜 시간이라는 개념을 만들어냈을까? 1년 365일, 1년 12달, 1주일 7일, 하루 24시간, 1시간 60분 같은 개념은 어떻게 만들어진 것일까. 농경사회의 탄생으로 인간이 한 곳에 정착하게 되면서 사람들은 계절과 시간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러니까 아주 오래 전이다. 많은 고대 사회에서 처음에는 달을 중심으로 시간을 측정했지만 단순히 달의 주기만으로는 계절의 순환이 딱 맞아 떨어지지 않았다. 그리하여 각 국가의 상황에 따라 어떻게 역법이 발전해 왔는지에 대한 이야기가 재미있다. 나라들은 서로 다른 일요일에 부활절을 지키는가 하면 어떤 해에는 달력에서 10일을 몽땅 빼버리기도 하여 월급에 대한 논란과 자신들의 수명이 줄었다는 불평도 있었다고 한다. 마침내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시간에 대한 규칙이 정해지고 동의가 있기까지 수많은 논란과 혼돈의 시절을 보냈을 걸 생각하니 비록 우리가 그 덕분에 시간에 얽매여 산다고는 해도 위대한 발견이 아닐 수 없다. '시계'에 대한 유럽인과 중국인의 생각 차이도 흥미롭다.


   두번째 주제인 지구와 바다의 발견은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대항해 시대의 이야기가 주를 이룬다. 그렇다고 흥미가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새로운 관점이나 처음 들어본 이야기들이 꽤 많다. 특히 아랍인들이 꽉 틀어쥐고 풀어주지 않았던 아시아로 통하는 육로가 몽골의 칭키스칸으로 인해 모든 이들에게 개방되었다는 사실, 만약 몽골이 그렇게 망하지 않았더라면 인간이 바다로 눈을 돌리지 않았을지도 모른다는 의견은 꽤나 일리있었다. 중국의 대항해 시대를 이끈 정화의 이야기도 흥미로웠다. 중국의 영락제가 그렇게 국경을 닫아걸지 않았더라면 세상의 역사는 어떻게 바뀌었을까. 그리스도교가 지리학의 발전에 아주 오랫동안 걸림돌이 되었다는 사실에는 실소를 금치 못했다. 에덴동산이 지도 어딘가에 표시되어 있고 예루살렘이 세상의 중심이라니. 선원들과 탐험가들에게 하등에 도움이 되지 않는 그리스도교의 우주론을 유럽의 군주들과 투자자들이 과감히 버린 덕분에 위도와 경도의 기하학이 발전하게 되었다. 대항해시대에 결국 바닷길은 세계를 이어준다는 사실을 발견하는 것까지가 1권의 내용이다.


   오랜만에 포만감 가득한 책을 읽었다. 2권에서 다루는 '자연'과 3권의 '사회'에서는 발견의 역사가 어떻게 기술되었을지 궁금하다. 찜해 두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