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둠의 속도
엘리자베스 문 지음, 정소연 옮김 / 푸른숲 / 2021년 10월
평점 :
장르가 SF이기는 하지만 시대적 배경만 특정 과학/의학 기술의 발전을 이룬 시대일 뿐 이야기는 전형적인 SF 형식은 아니다. 내용은 다르지만 대니얼 키스의 <앨저넌에게 꽃을>이 떠올랐는데 책 말미 작가와의 인터뷰에도 보니 같은 질문이 있었다. 하지만 작가도 말했듯이 소재면에서 비슷하다는 것이지 문제에 다가가는 방식이나 이야기의 전개 방식은 완전히 다르다. 나의 세대라면 그리고 가까이에서 이들을 접해본 적이 없다면 '자폐인'을 다른 정신적 장애인들과 다르게 인식하게 된 것이 아마도 '레인맨'이라는 영화때문이지 않을까 싶다. 그렇다고 그들을 잘 알게 되었다라기 보다는 그들이 가진 장애라고 불리는 요소의 일부가 특별한 천재성으로 발휘된다는 사실에 그저 놀랐다고 해야 할 것이다.
인류는 과학과 의학에서 눈부신 발전을 이루어 이제는 임신 단계에서 자폐를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그래서 인류는 더 이상 자폐를 안은 채 태어나는 아이들이 없다. 하지만 이미 자폐인으로 태어난 사람들을 '정상인'으로 되돌릴 방법은 없다. 그래서 이야기의 화자인 '루'는 자폐를 안고 살아가는 마지막 세대이다. 하지만 영화 <레인맨>에서처럼 자폐인들의 특정 패턴을 빠르게 인식하는 천재적 능력이 기업의 필요와 맞물리면서 루는 회사에서 적절한 대우를 받고 일하고 있다. 여기서 적절한 대우는 자폐인들이 집중력을 발휘하기 위한 체육관 시설 등 그들만을 위한 소소한 혜택을 포함한다.
자폐인들을 특별 대우해주는 걸 고까워하는 새로운 임원이 부임하면서 작가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주제가 드러나기 시작한다. 이 작품이 자폐를 다룬 다른 이야기들과 가장 차별된 점이라고 한다면 아마도 화자가 자폐인이라는 것이다. 상당 부분의 이야기가 자폐인인 루의 시점으로 진행된다. 그래서 자폐인이 '정상인'의 말과 행동을 어떻게 보고 느끼고 반응하는지 알게 된다. 물론 루가 모든 자폐인의 전형은 아닐테지만 저자가 자폐인 아들을 두었다는 사실은 '자폐와 정상'에 대한 관점이 남다르다는 의미일 것이다.
자폐인의 마지막 세대인 '루'와 그의 동료 자폐인들은 자폐증을 역진시키는 (실험단계의) 치료를 받을 지 여부를 선택해야만 하는 상황에 놓인다. 과연 '정상'이란 무엇일까. 자폐를 '비정상'이라 할 수 있는가? '자폐인'을 '정상인'으로 만드는 것이 그들을 구원하는 것인가? 정상화 수술을 받은 나는 여전히 나인가? 자폐는 나의 일부이고 나의 정체성 중의 하나인데 이를 교정하게 되면 내가 아닌 것이 아닐까?
위의 질문들에 과연 정답이 있을까. 인간의 정체성 혹은 본질과 관련된 문제는 객관식이 될 수 없음을 저자는 루와 루의 친구들을 통해서 알려준다. 다만 개인적으로는 결론을 좀 더 오픈해 놓았더라면 어땠을까라는 아쉬움이 있다. 루의 관점으로 진행되던 이야기가 마지막에 갑자기 (여전히 루의 관점이지만) 완벽한 결말을 바라는 작가의 심정이 투영된 것 같아 좀 찜찜했다는 뜻이다. 질문에 대한 답을 독자들에게 영원한 숙제로 남겨놓았더라면 더 좋았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