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에는 얼마나 많은 별이 있을까요? - 에드윈 허블의 발견 똑똑한 책꽂이 26
이사벨 마리노프 지음, 데버라 마르세로 그림, 이강환 옮김 / 키다리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구 정화를 위해 종종 그림책을 읽어줘야 한다. 이번에는 까만 바탕에 반짝이는 별들이 촘촘히 박혀있는 아주 어여쁜 표지의 그림이 매력터지는 우주와 별 이야기를 담은 그림책이다. 부제에도 나와 있는 것처럼 망원경으로 하늘의 별들을 뚫어져라 보고 있는 아이는 바로 아홉살의 에드윈 허블이다. 아홉살 생일에 할아버지가 직접 만들어주신 망원경으로 좋아하는 별에 흠뻑 빠져있는 모습이다.


   천재는 99퍼센트의 노력 어쩌고 저쩌고 하는 건 사실 좀 헛소리다. 천재는 어느 정도 타고 나야 한다. 내 말은 머리가 비상해야 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자신이 좋아하는 것에 대한 집착이랄까 아무리 둘러가더라도 결국은 다시 그 자리로 돌아오는 그런 집착과 열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에드윈 허블 역시 천문학자의 꿈이 있었고 할아버지의 지지가 있었지만 아버지의 뜻에 따라 법을 공부하고 고등학교 선생님으로 일을 하다가 결국 자신의 꿈인 천문학으로 다시 회귀하게 된다. 역사에 이름을 남긴 이들이 그렇긴 하지만 허블이 없었더라면 안드로메다가 우리은하가 아니라는 것과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 시기가 아마도 좀 더 늦어졌을 것이다. 그리하여 천문학에서 그의 이름은 여기저기에 흔적을 남겼는데 특히 1990년에 궤도로 발사된 우주 망원경이 '허블 우주 망원경'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우게 된다.


   아이들을 위한 그림책이라 허블의 업적이나 우주에 관한 설명은 아주 간단하게만 담겨있다. 하지만 아름다운 그림을 보면서 우주와 우리의 기원에 관한 허블의 호기심에 동참하도록 독려한다. '고개를 들어 별을 올려다보세요'라는 메세지는 비단 아이들에게 뿐만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유효하다. 별이 가득한 하늘을 올려다보는 아이의 눈동자가 애정과 동경으로 빛나고 있다는 것이 절로 느껴질 정도로 그림이 아름답다. 안구 정화 제대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