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나의 밤을 떠나지 않는다 ㅣ 프랑스 여성작가 소설 1
아니 에르노 지음, 김선희 옮김 / 열림원 / 2021년 7월
평점 :
나이가 들었다는 사실을 실감하는 경우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결혼식 초청장보다 부고를 점점 더 많이 받게 되었을 때 가장 절감하게 되지 않나 싶다. 주변인들의 병과 죽음에 관한 소식 그 중에서도 가족의 그것은 하나의 큰 시험이 되기도 한다. 투병이라 불리우는 것이 필요한 종류의 질병은 의학적 소견으로는 경중을 따질 수 몰라도 그 상황을 직접 겪고 있는 당사자와 고통을 분담하는 가족들에게는 경중을 그리 쉽게 따질 수 있는 아픔은 드물 것이다. 병의 경중과 무관하게 인간이라면 누구나 죽는 순간까지 존엄성만큼은 지키고 싶어한다. 그래서 기계적 생명연장이나 안락사에 관한 논쟁이 끊이지 않는 것이다. 만약 스스로 죽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면 (자살을 제외하고) 가장 피하고 싶은 질병은 아마도 인간의 존엄성이 단 한줌도 남지 않을 것 같은 치매가 아닐까.
아니 에르노의 이 책은 교통사고 후유증에 의한 기억 상실증이 치매로 진행된 어머니에 대한 기록이다. 어머니가 사고를 당한 후 기억에 문제가 생기면서 자신의 집에서 어머니를 모시다가 치매 증상이 심각해져 요양병원으로 어머니를 옮긴 후 그녀는 주기적으로 어머니를 문병한다. 어느 순간부터 그 일들을 쪽지에 기록하기 시작했는데 그렇게 모인 쪽지들은 어머니의 마지막 날들과 문득 떠오르는 추억들과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일기가 된다. 이 책의 장르가 왜 소설로 분류되는지는 모르겠다. 작가의 입으로 직접 '어머니 곁에 있던 순간들을 수정해서 옮겨 적지 않았다'라고 했으니 일종의 자전적 기록이라 해야 하지 않을까.
문장은 간결하고 미사여구가 거의 없음에도 무작위로 떠오르는 어머니와의 추억이나 갑자기 치고 들어오는 저자 자신의 이야기는 앞뒤 맥락을 파악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그리고 프랑스어만이 가지고 있는 특징이나 매력까지 번역으로 이해하기엔 무리가 있지 않나라는 생각도 든다. 요양병원 치매 환자들의 온갖 치부나 존엄성을 상실한 행동들은 적나라하게 부각되었지만 치매에 걸린 어머니의 모습에서 발견한 삶에 대한 책임감이나 어머니에 대한 사랑(애증이라고 해야 하나)을 표현하는 고백처럼 감정선이 담긴 글들에 대한 공감이나 동감은 좀 어려웠다. 그러다보니 결국 공포감만 남았다고 해야 할까. <나는 나의 밤을 떠나지 않는다>라는 제목은 어머니가 쓴 편지의 마지막 문장에서 가져온 것인데, 저자는 그 문장을 어머니가 요양원을 가기 위해 집을 나서면서 자꾸 뒤를 돌아보던 행위와 연관시켜 환했던 낮의 시간 뿐 아니라 어둠과 아픔의 시간인 밤마저 자신의 인생으로 받아들이겠다는 어머니의 의지라고 해석한다. 나로서는 이 부분 역시 그 문장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없어 같은 생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웠지만 그러한 해석은 저자만이 느낄 수 있는 개인적 특권으로 결론 내려본다.
열림원에서 출간한 이 작품은 프랑스 여성작가들의 작품만을 모아서 출간했던 시리즈의 재출간이라고 한다. 그 첫번째 작품인 <나는 나의 밤을 떠나지 않는다>는 나에게 좀 어려운 작품이기는 했으나 다른 작가들의 작품들의 재출간도 기대하게 만든 첫 신호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