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드로메다 성운
이반 예프레모프 지음, 정보라 옮김 / 아작 / 2017년 2월
평점 :
절판
이 책이 쓰인 시기에 대한 이해 없이 읽으면 굉장히 이상하다고 생각할만한 작품. 소련과 미국의 냉전 시대, 그리고 그들이 우주를 두고 한참 경쟁하면서 소련이 우위를 점하던 시대의 소련을 대표한 SF 작가의 작품이라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읽는 편이 좋다. 작품의 명확한 시대적 배경은 나오지 않지만 지금으로부터 수천년 후의 미래이고 지구는 멸망하지 않고 하나의 세계가 되어 있고 호모 사피엔스는 무언가 한차원 더 나은 종족으로 진화된 상태인데 작가는 이 세계를 공산주의적 유토피아가 실현된 세상으로 그리고 있다.
지구에서 뿐만 아니라 인류는 우주에서도 다른 지성들을 발견하여 '위대한 원'이라는 체계를 통해 통신을 주고 받고 있으며 과학의 발달은 여전히 인류가 정복하지 못한 머나먼 우주를 향해 도전장을 내밀도록 격려하고 있다. 이야기는 우주와 지구, 이렇게 두 곳을 배경으로 교차진행된다. 에르그 선장이 이끄는 제37 성단 탐사대 탄트라 호는 갑자기 통신이 끊긴 지르다 행성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아보기 위해 그곳으로 향하는 중이고 (이제 인류는 지구를 구하는 미션을 넘어서 우주를 구하기까지 해야한다..아..피곤하다) 이 과정에서 '철의 행성'의 중력에 끌려 그 곳에 착륙하게 된다. 철의 행성이란 열이 꺼져서 눈에는 보이지 않는 T 등급의 철이 많은 별로 그곳에 행성이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채 지나가게 되면 어마어마한 행성의 중력에 이끌려 어쩔 수 없이 잡혀버리게 된다는 우주 비행사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행성이다. 두둥..탄트라호는 철의 행성에서 무엇을 발견하게 되고 과연 지구로 무사히 귀한할 수 있을 것인가..라고 긴장감을 주고 싶지만 사실 이 미래의 인간들은 초울트라 파워급 멘탈과 신체 능력과 의료기술을 가지고 있어서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다른 것들은 그렇게 초초초 발전된 상상의 기술로 무장했으면서 유독 통신이나 저장장치 같은 것들에서는 작가의 상상력이 그다지 많이 발휘되지 않았다는 점도 이야기의 불균형을 느끼는데 한몫한다.
그래도 우주 이야기는 꽤 재미있는 편이나 지구에서의 이야기는 아주 지루...너무 심한 공산주의적 유토피아에 대한 찬양과 뜬금없이 고대 문명들은 왜 그렇게 파헤치는지.. 지금 우리가 사는 세상은 분열된 세상이라고 불렀던 것 같은데, 그 시대의 이야기는 거의 나오지는 않지만 나왔다 하면 부정적 시각에다 의미없는 이상한 연설들은 선전용 홍보물 같은 느낌으로 전달된다. 암튼 역사적 가치는 있을 지 몰라도 문학적 가치는 의문을 품게 되는 작품. 게다가 범지구적인 세상에서 이상한 인종주의적 발언들이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