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피에로들의 집
윤대녕 지음 / 문학동네 / 2016년 2월
평점 :
리스먼의 '고독한 군중'이라는 표현은 이제는 꽤 묵은 말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현대를 대표하는 자화상의 이미지를 지닌다. 자신이 속한 집단에서 격리되지 않으려는 노력이 가져오는 고단함이 오히려 내면의 고립감과 불안감을 만들어낸다는 것인데, 작가는 여기에 '도시 난민'이라는 개념을 더해 기댈 곳 하나 없는 현대인들의 처지를 그려낸다.
작가가 그려낸 '도시 난민'은 일단 가족이 없거나 있더라도 가족이나 집이라는 단어가 주는 안위를 전혀 느끼지 못하거나 오히려 그들로부터 상처를 입은 자들이다. 혹은 사회집단에서 타인과의 관계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자신이 사회에서 차지하는 위치의 정체성에 대해 지극한 혼란을 겪는 이들이다. 그런 이들이 어찌어찌 마마가 운영하는 '아몬드 하우스'라는 곳에 모여 살고 있다.
엄마는 남의 남자를 뺏은 여자로 낙인찍히고 생부는 누구인지도 모른 채 이모가 운영하는 아몬드 하우스에서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김현주, 한때 교사였고 결혼도 했지만 지금은 이혼 후 사진작가로 활동하는 박윤정, 사랑하는 이의 자살로 삶의 의지를 상실한 윤태, 그리고 말을 잃은 듯한 고등학생 정민이 마마가 운영하는 '아몬드 하우스'의 거주자이다. 여기에 사랑했던 여자의 잠적과 자신이 속한 사회집단에서의 고립으로 술에 빠져 사는 김명우라는 사람이 마마의 간택으로 입주하여 1층의 북카페를 운영하면서 이들 '도시 난민'들의 삶에 생겨나는 작은 파장에 관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제목의 '피에로'는 바로 이들을 가리키는 말처럼 보이는데, 소설 속에 '피에로'라는 말이 직접적으로 등장하진 않았던 것 같다. 내 기억의 오류일지도 모르지만. 피에로는 항상 웃는 척 해야하고 다른 이들을 즐겁게 해주어야 하지만 실제 자신은 슬픔과 외로움으로 점철되어 있는 이를 상징하는데, 이들이 가면을 벗고 상처입은 모습의 민낯을 그대로 드러내는 아몬드 하우스는 그런 의미에서 '피에로들의 집'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도시 난민'은 영원히 구제받지 못할까? '피에로'의 숙명은 비극일 수 밖에 없을까? 그것이 바로 우리 사회가, 그 사회에 속한 개개인이 고민해야 할 과제이다. 특히 코로나로 인해 생활의 많은 부분이 '언택트'로 바뀌는 요즘 '타인에 대한 감정'을 회복하고 지속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 간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