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 컬러 - 색을 본다는 것, 그리고 눈에 보이지 않는 더 많은 것들에 대하여
데이비드 스콧 카스탄.스티븐 파딩 지음, 홍한별 옮김 / 갈마바람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색이 없는 세상을 상상할 수 있을까? 우리가 보는 이 세상은 온갖 색으로 가득차 있지만 사실 우리는 색이 빛의 장난이란 걸 이미 알고 있다. 그렇다고 색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을까? 색은 그저 허상에 불과한 것일까? 인간이 자각할 수 있는 빛의 스펙트럼, 흔히 우리가 무지개색이라고 말하는 빨.주.노.초.파.남.보는 어디에서부터 시작되었을까? 무채색이라고 말하는 검정색, 흰색, 회색은 색이 아닐까? <온 컬러>는 이런 질문들에 대해 심도있는 인문학적 방식으로 접근한다.


   사실 무지개빛 일곱색깔이라고 편리하게 정의한 색들 사이에는 무수한 색이 존재한다. 그 무수함 하나하나를 이름 붙인다는 건 아무리 유명한 물감 회사라 할지라도 불가능하다. 그러니 우리는 적당히 타협하여 인간 세상에서 인지할 수 있는 색을 정의내리고 이름 붙일 뿐이다. 이 책은 인간의 편의에 의해 (특히 뉴턴) 명쾌하게 이름 붙여진 일곱가지 무지개색과 흰색, 검정색, 회색을 더해 총 10가지 색에 대해 인류가 색에 부여한 권리와 편견, 혹은 의미와 욕망 등이 어떻게 문학, 예술, 역사, 사진 속에서 때로는 노골적으로, 때로는 교묘하게 정체를 드러내는지 이야기한다. 특히 색이 '인종 정체성을 나타내기에는 놀라울 정도로 부정확한 지표'이며 '가장 정보값이 적은데도' 불구하고 가장 흔하게 사용되면서 왜 아시아인이 황인종이 되었는지, 파란물을 들이는 염료의 이름이었던 '인디고'가 왜 어느 날 갑자기 색이름이 되었는지 등, 인간이라는 종은 색에서조차 기어이 부끄러운 민낯을 드러내고야 마는 어쩔 수 없음이 씁쓸하게 다가왔다.


   이 책을 읽다보면 인간의 언어라는 것이 여전히 자연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표현하기에는 터무니 없이 부족하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색' 하나로 이렇게 많은 이야기를 이어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시대에 존재하던 문화적 차이까지 논할 수 있다니 놀라울 뿐이다. 이 책을 읽고 나면 더 이상 눈 앞에 있는 색이 당연하게 보이지 않을 것이다.


색의 감각은 물리적이고 색의 인식은 문화적이다 p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