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르도의 링컨
조지 손더스 지음, 정영목 옮김 / 문학동네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끝까지 읽기 위해서 있지도 않은 도전정신을 끌어모았다. 2017년 맨부커상 수상작. 한강 작가 덕분에 우리에게 익숙한 문학상이라 별 거부감 없이 집어들었다가 된통 당했다. 하지만 이 책이 어떤 책이라는 대략적 백그라운드를 알고서 계속 읽으니 3분의 1이 지난 다음부터는 탄력이 생겨 심지어 재미를 느끼면서 마무리지었다.


   나는 친절하니까 좀 이야기를 해보자면, 작가가 워싱턴의 링컨기념관에 있는 링컨의 거대한 좌상을 보면서 떠올린 피에타의 이미지(피에타란 마리아가 예수 그리스도의 주검을 안고 비통해하는 모습을 말하는데 수많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준 이미지이다)를 바탕으로 이 작품을 구상했다고 한다. '바르도'란 티벳의 불교 용어인데 '죽고나서 다음 생을 받을 때까지' 영혼이 머무르는 중유라고 한다. 우리에게 익숙한 용어로 말하자면 일종의 연옥이나 림보정도? 그러니 '바르도의 링컨'이라 함은 죽어서도 천국이나 지옥을 가지 못한 채 이승도 저승도 아닌 곳을 떠도는 링컨 정도로 해석하면 되는데 여기서 링컨은 우리가 알고 있는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의 둘째 아들인 윌리 링컨을 가르킨다. 11살에 장티푸스로 사망했다고 한다.

바르도에 있는 죽은 자들은 자신이 죽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 이들이다. 그래서 이승에 다시 갈 수도 없으면서 저승에도 가지 못하고 중간 어디메쯤을 떠도는 이들인데 윌리 링컨 역시 그렇다. 실제로 링컨대통령은 아들의 죽음을 받아들이기 어려워 장례를 치르기 전 안치한 임시 납골당에 혼자 와서 아들의 주검을 끌어안고 슬퍼했다고 한다. 자, 여러분이라면 이 소재를 가지고 이야기를 어떻게 풀어낼 것인가. 여기서 맨부커상 수상 작가의 창의성이 발휘된다.


   작가는 당시 실제 있었던 현실 세계의 일들은 당시를 기록한 각종 책과 편지, 신문 등을 인용하여 기록한다. 저자의 의견이나 창작 따위는 단 한 줄도 들어가지 않는다. 모두 어디에서 인용된 것인지가 쓰여있다. 저자는 자신의 재능을 '바르도'에만 집중하는데 사무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의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의 대화만큼 어수선한 듯 하면서 일관성 있고 거기에 의식의 흐름이 가미된 듯한 느낌이랄까. 바르도에 있는 존재들은 '물질빛피어나는 현상'과 '익숙한, 하지만 늘 뼈 오싹하는 불소리'가 들리면 또 누군가가 바르도를 떠났음을 인지한다. 바르도에 올 때는 죽은 순간의 모습을 지닌 채 오지만 떠날 때는 그가 이전 곳곳에서 가졌던 여러 형태들의 자아를 보여주며 떠난다. 특이하게도 바르도에 남은 자들은 떠나는 자들에게 '굴복'했다는 표현을 사용한다. 그만큼 바르도를 떠나기를 싫어하는데다 상대방에게 공감하려하거나 하는 태도가 전혀 없는 채로 하루하루를 살아간다. 하지만 유독 윌리 링컨에게만은 다른 태도를 보이는데 여기서 독자들은 윌리 링컨과 죄많은 인류를 대속하는 예수 그리스도의 이미지를 중첩시킬 수 있다.


   호감가는 내 스타일의 작품은 아니지만 이토록 창의적인 작품이라니! SF계의 커트 보니것만큼 통통 튀는 작품이라고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