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누가 누구를 베꼈을까? - 명작을 모방한 명작들의 이야기
카롤린 라로슈 지음, 김성희 옮김, 김진희 감수 / 윌컴퍼니 / 2015년 2월
평점 :
절판
미술관이나 책에서 화가들의 그림을 보고 있으면 대놓고 똑같거나 묘하게 비슷한 그림들을 종종 보게 된다. 후대 화가의 선대 화가에 대한 오마주인 경우도 있고 선대의 유명세를 빌어 나도 그만큼 한다라는 자랑질인 경우도 있고 과거 그림에 대한 혹은 당시 그림을 바라보던 대중들의 시각에 대한 풍자와 비판인 경우도 있으며 우스꽝스러운 패러디인 경우도 있다.
이 책은 그런 그림들을 다루고 있는데 의외로 직,간접적으로 서로 영향을 주고 받은 작품들이 많다는 사실이 놀라웠다. 책의 구성이 재미있다. 하나의 작품을 두고 그 작품에 영향을 미친 선대의 작품과 그 작품의 영향을 받은 후대의 작품을 나란히 배치하여 세 점의 작품을 두고 비교를 하는 방식이다. 대놓고 나는 이 그림을 베꼈소 하는 작품들도 있지만 저자의 설명으로만 이해할 수 있는 경우도 많았다. 미술작품을 보는 새로운 방식과 안목을 배운 셈이다. 더불어 '창작'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예술가들의 고민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게 되었다. 회화하면 떠올릴만한 모든 것을 선대 화가들이 다 이루버려서 더 이상 새로운 걸 찾아내기 어려운 후배 화가들은 뭘 해야하는 것일까? 새로운 사조들은 화가들의 그러한 고민에서 출발해서 탄생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제 회화의 형식과 내용의 파괴, 심지어 전통적으로 회화라 불리우는 소재까지 파괴된 마당에 더 이상 무얼 할 수 있을까?
이 책은 상호간에 영향을 받은 작품들을 통해 미술의 영역에서 더 이상 새로운 건 없다는 사실을 보여줌과 동시에 예술이란 얼마든지 재해석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역설한다. '지속적인 재해석'을 통한 미술의 발전은 '창작'이라는 이름표를 달고 나오는데 아무 문제가 없으며 이러한 재해석이야말로 인류의 예술적 자산을 풍요롭게 하는 영감의 원천이라고 말한다.
빈센트가 테오에게 보낸 편지 한 대목이 명언이라 인용해본다. (알다시피 빈센트 반 고흐는 밀레의 작품을 여럿 모사했다. 아래 인용은 밀레에 관한 이야기이다)
생각할수록 분명해지는 것은 내가 밀레의 작품들을 모사하려고 애쓰는데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는거야. 이것은 단순히 베껴 그리는 작업이 아니야. 그보다는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 작업에 가까워. 흑백의 명암에서 느껴지는 인상을 색채의 언어로 풀어내는 거지 - 본문에서 재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