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솝 우화 전집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ㅣ 현대지성 클래식 32
이솝 지음, 아서 래컴 그림,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10월
평점 :
어렸을 때 이솝우화 한편 읽어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우화란 단순한 이야기가 아니라 이야기로부터 교훈을 줄 목적으로 만든 이야기를 의미한다. 그래서 이솝우화는 보통 욕심을 부리면 안된다던지, 분수에 맞게 살아야 한다던지, 남을 속이려고 하면 안된다던지 하는 교훈이 꼭 들어있기 마련이었다. 이솝이 살던 시대가 기원전 6세기 후반이었으니 각 민족의 전설이나 설화처럼 이런 이야기들이 구전으로 전해져 오다가 여러가지 버전으로 각색되어 입맞에 맞게 기록되었을 것이라 짐작할 수 있다.
현대지성에서 나온 이번 판본은 영어로 번역된 것을 다시 번역한 것이 아니고 구전으로 수집된 우화 중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된 이야기를 선정하여 그리스어 원전과 프랑스로 번역한 것을 완역한 것이라 좀 더 각색을 덜 거친 번역본이라는데 의의가 있다. 총358편의 우화에 중간중간 일러스트가 그려져 있어 지루하지 않게 읽을 수 있고 짧은 이야기의 마지막에는 별도로 교훈이 달려있는데, 우화가 전승되면서 후세 사람들이 나름대로 붙인 해석이라니 재미있다. 당시에도 수많은 나쁜 짓과 속임수와 복잡한 인간관계는 지금과 똑같았다는 생각을 하니 인간은 참 변치 않는구나라는 생각이 든다. 어렸을 때 읽어보고 지금 보는지라 이솝우화에 제우스와 헤르메스가 그렇게 많이 등장하는 줄 처음 알았다. 아마도 과거 그리스 사람들의 입에 가장 많이 오르내리는 신이 제우스와 헤르메스였나보다. 도시쥐와 시골쥐 이야기, 토끼와 거북이 이야기, 개미와 베짱이 이야기 등이 이솝우화였다는 사실도 이번에 알게 되었다. (토끼와 거북이는 진짜 우리나라 이야기인 줄 알았음)
다시 읽어보니 억지스러운 교훈이나 지금의 도덕관념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도 있기는 하지만 지금으로부터 3천여년전에 이런 이야기들이 만들어져 지금까지 전해내려온 것이니 당시에 살았던 사람들의 삶과 사회상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아닐까 생각해본다. 이런 우화들이 구전되어 오면서 각 나라의 신화나 설화 등에도 영향을 주었을 테니 우리나라의 설화나 전설 속 이솝우화의 흔적을 찾아보는 것도 재미있을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