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래된 새 책 - 절판된 책에 바치는 헌사
박균호 지음 / 바이북스 / 2011년 9월
평점 :
나는 책 수집가도 아니고 책 사냥꾼도 아니다. 사실 그런 능력이 안되기 때문인데 (고서나 희귀본을 찾아다니는 것은 경제적 능력 뿐만 아니라 정성과 시간 그리고 결정적으로 안목이 필요하다. 이 모든 것을 '능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일부 경제적 이득만을 노리고 책을 그저 하나의 상품으로만 생각하는 이들이 있어 절판된 책이나 희귀본을 찾아 나서는 사람들에 대한 평판이 약간은 왜곡되어 있다는 생각이 든다. 알고보면 '책 사냥꾼'의 역사는 엄청 오래되었다. 어찌보면 지금 우리가 박물관 등에서 수많은 희귀본들을 볼 수 있는 것은 책 사냥꾼들에게 덕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지도 모른다.
저자 역시 오래된 책들과 희귀본들을 찾아다니는 책 수집가이다. 이 책은 저자가 수집한 책들에 관한 이야기와 거기에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이야기들로 구성된 일종의 에세이라고 보여진다. 책을 읽다보면 저자가 단순히 책을 수집하는 사람만은 아니라는 걸 금방 알게 된다. 자신이 소장하고 있는 책들에 대한 애정뿜뿜은 물론이고 그토록 소상하게 책에 관해 알고 있는데다가 그 가치를 열변하는 모습이 보통이 아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출판 환경 상 좋은 책들이 너무나 빨리 절판되어 버리고 마는 현실에 안타까움을 표하는데 '좋은 책을 절판시키는 것도 절판된 책을 다시 살려내는 것도 모두 독자의 몫'이라는 저자의 외침이 마음을 울린다. 제목으로 사용된 '오래된 새책'이란 절판되었다가 재출간된 책을 의미한다. 한가지 아이러니는 한번 절판되었다가 그 책을 찾아 헤매는 사람들의 간곡한 요구로 재출간된 책이 막상 재출간되고 나자 인기가 없었다는 사실이다. 책의 희소성에 대한 요구가 책의 다른 장점들을 넘어서는 경우라고 보여진다. 절판된 책을 다시 살렸더니 팔리지 않아 다시 절판되는 이 사태는 누구의 책임일까.
저자의 글쓰는 방식이 편안해서 술술 잘 읽힌다. 재미있는 에피소드도 많고 모르던 책 사냥의 세계도 흥미롭다. 요즘은 어떤 책들이 책 사냥의 목표감이 되는지에 대한 부분을 읽다보면 내가 소장하고 있는 책은 없는지 은근히 기대하기도 한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아직 절판되지 않은 책들을 마구마구 장바구니에 담게 되는 부작용도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오래된 새책'의 두번째 이야기가 나와도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