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크릿 가든 - 초판본 비밀의 화원 - 1911년 오리지널 초판본 표지디자인 더스토리 초판본 시리즈
프랜시스 호지슨 버넷 지음, 박혜원 옮김 / 더스토리 / 202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어렸을 때 집에 있던 세계명작동화 전집을 수도 없이 읽었던 기억이 있다. <비밀의 화원>도 그 중의 하나인데 '비밀'과 '마법'이라는 단어에 매료되고 책 속에서 묘사된 정원이 어린아이 생각에도 너무 예쁘다고 여겼던 것 같다. 어렸을 때 책을 읽고 나면 늘 상상 속에서 한참을 헤매곤 했는데 이 책 역시 그랬다. 어렸을 때의 로망이 담긴 #비밀의 화원 이 1911년 오리지널 #초판본 표지 디자인으로 나왔다. 내가 좋아하는 #더스토리 의 작품이다. 표지의 그림은 메리가 비밀의 화원으로 들어가는 문을 발견하고 열쇠로 문을 여는 장면이다. 책에서 계속 등장하는 '울새'도 보인다.


   예전에는 몰랐지만 지금 생각해보니 작가가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고는 하나) 영국사람이니 전형적인 영국 정원의 모습이 비밀의 화원에 투영되지 않았을까 생각해본다. 어렸을 때는 막연하게 아름다운 정원을 상상해보았지만 지금은 실제 보거나 혹은 책에서 접한 영국 정원들의 모습을 생각하며 책을 읽으니 비밀의 화원의 아름다운 모습이 훨씬 생생하게 느껴지는 듯 했다. 특히 눈여겨 보지 않았던 요크셔 황무지의 풍경이 매력적이었는데 <폭풍의 언덕>에서 반했던 히스꽃을 여기서도 만날 줄이야!


   이야기는 인도에서 살던 10살의 메리라는 여자 아이가 부모님이 모두 돌아가시면서 유일한 혈족인 영국 요크셔의 고모부 크레이븐의 집으로 오게 되면서 시작한다. 보통 이런 경우 주인공인 여자 아이는 예쁘고 가련한 이미지로 그려지기 쉽지만 메리는 심술궂고 못생기고 괴팍한 성격의 아이로 등장한다. 당시 영국의 식민지였던 인도에서 있는 집 자식이지만 부모의 사랑을 받고 자라지 못하고 보모의 손에 오냐오냐 길러진 탓이다. 오크셔에 있는 크레이븐의 집에도 그런 아이가 한명 있다. 사랑하던 아내가 죽으면서 삶이 무너진 크레이븐은 아내를 꼭 닮은 아이를 보면서 괴로워한 나머지 아이를 하인에게만 맡겨두고 돌보지 않는다. 방치된 아이인 콜린은 성질도 괴팍하고 자신은 아빠처럼 곱사등이가(사실 아빠도 어깨가 굽은 것이지 곱사등이가 아니다) 되어 죽을 것이라는 과대망상증에 빠진 나머지 늘 침대에 누워 히스테리만 부린다. 그리고 두 아이의 성장과 변화 과정에서 큰 역할을 하는 디콘이라는 아이까지. 이렇게 세 아이들을 중심으로 이야기는 전개된다.


   오랫만에 어릴 적 마음으로 돌아가 비밀의 정원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나도 그런 정원 하나 있었으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