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숨
테드 창 지음, 김상훈 옮김 / 엘리 / 2019년 5월
평점 :
'귀환'이라는 단어가 이토록 잘 어울리는 작가가 있을까. <당신 인생의 이야기>를 읽었을 때가 생각났다. 테드 창은 다른 거장들의 SF 작품들을 오마주하기는 하지만 전혀 다른 이야기를 만들어낸다. 아주 작은 아이디어나 질문 하나에서 파생된 생각이 인간의 과거를 지나 현재를 관통하여 미래까지를 단숨에 연결하고 그것이 하나의 이야기로 탄생할 수 있다는 것이 놀라울 따름이다. <당신 인생의 이야기>를 읽었을 때도 느낀 것이지만 처음 들어본 생각이, 처음 접해본 세상이, 한번도 생각해 보지 못한 관념이 테드 창의 활자로 변환되는 순간 이해된다는 것이 경이롭다.
이번 단편집 <숨>은 총 9개의 단편으로 이루어져있다. 그 중의 하나인 '소프트웨어 객체의 생애 주기'는 중편 정도 되는 분량이라 이미 단행본으로 나왔던 판본으로 읽은 적이 있는 작품이다. 첫번째 작품인 '상인과 연금술사의 문'은 아라비안 나이트가 바로 떠오를 정도로 거기서 이야기의 틀을 빌려왔는데 이야기 속 타임슬립 장치 하나로 인해 순식간에 SF로 장르변신을 이룬다. 표제작 '숨'은 정말이지 대단했는데, 인류 종과 문명의 탄생과 소멸에 대해 기존의 창조나 진화가 아닌 전혀 새로운 이론을 만들어냈다. '사실적 진실, 감정적 진실'은 줄리언 반스의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나 <연애의 기억>을 떠올리게 했다. 줄리언 반스는 <연애의 기억>에서 "기억은 기억하는 사람 요구에 따라 정리되고 걸러진다"라고 했다. 그런데 그 기억이 더 이상 주관적이 아니라면 어떻게 될까? 그 사람의 모든 이야기가 '리멤'이라는 기억장치에 저장되고 언제든지 기억을 소환할 필요가 있을 때 영상으로 재현되어 기억의 오류가 전혀 없는 세상은 개인에게 행복한 세상이 될까? <불안은 자유의 현기증>은 평행 세계를 다루고 있는데 가장 많은 생각을 하면서 읽은 작품 중 하나이다. 세상에는 수많은 평행 세계와 평행 자아가 존재하지만 '프리즘'이라는 도구를 통해 서로 다른 두 세계가 연결되고 나서야 서로의 세계에 영향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인간의 자유 의지란 무엇일까? 우리는 많은 선택을 하면서 살아가지만 그와는 정 반대의 선택을 한 다른 세상의 내가 존재한다면 그 선택은 의미가 있다고 말할 수 있을까? 자유의지에 관한 좀 더 공격적인 이야기는 '우리가 해야 할 일'에서 보여준다. 예측기의 보급으로 인간의 선택이란 것이 자유의지에 의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 검증되고 그로 인해 무동무언증이 인지적 역병처럼 번지게 된다. 자유의지가 환상이라고 할지라도 변하는 건 없다. 무동무언도 자신의 선택일 뿐이다. 달리 선택의 여지가 없다면 나는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
테드 창은 항상 마지막에 자신의 '창작 노트'를 공개하는데, 이 창작노트에서는 그가 얼마나 다양한 곳에서 소재에 관한 영감을 얻는지, 그리고 인류의 미래와 도덕적 책임 등에 대해 얼마나 많은 고민과 질문을 하면서 작품을 쓰는 지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그래서 그의 작품들은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만 만날 수 있으며 그 기다림에 대한 보상은 두둑하다. 그래도 조금만 더 자주 작품을 발표해 주었으면 하는 것이 독자로서의 희망사항이다. <당신 인생의 이야기> 이후 17년만에 나온 두번째 소설집이라니.. 팬들을 좀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