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의 말 - 2,000살 넘은 나무가 알려준 지혜
레이첼 서스만 지음, 김승진 옮김 / 윌북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번역판의 제목을 '나무의 말'이라고 하기는 했지만 사실 정확히 말하면 '나무'가 아니라 '오래된 생물'에 관한 이야기이다. 저자는 우연한 기회로 오래된 생물들을 찾아나서 보자고 생각한다. 저자의 기준에서 오래된 생물이란 2000년 이상된 것이다. 그러니 사실 아무리 오래 산다고 해도 2000살이 넘는 동물들은 없거나 찾을 가능성이 희박하니 나무가 가장 큰 후보군이 되는 셈이다. 저자는 이 프로젝트에 10여년을 바친다. 이렇게 이야기하면 저자가 식물학자 같은 과학자가 아닌가 생각할 것이다. 천만에, 저자는 예술가이다. 예술가로서 지구의 오랜 역사를 인류의 탄생 전부터 지켜보던 오래된 생물들을 통해 그들이 이야기하는 것에 귀기울이고자 이런 프로젝트를 기획한 것이다.


   우리는 가끔 별을 보면서 이런 생각을 한다. 우리가 보는 저 별은 3천년전의 별이며 이미 소멸되고 없어졌을지도 모른다고 말이다. 그런 생각을 하면 머나먼 우주의 신비에 대한 경외심을 느끼게 된다.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보면 우리가 사는 이 지구상에는 3천년전의 별빛보다 훨씬 현실적인 오래된 생물들이 존재하고 있다. 저자가 찾은 가장 오래된 생물만 해도 40만에서 60만살로 추정되는 시베리아 방선균이 있다. 인간이 존재하기 수십만전부터 이 지구에 등장하여 모든 희로애락을 겪었을법한 나이이다. 균 따위에 별로 경외심이 생기지 않는다면 13000살된 유칼립투스는 어떤가? 인간은 주위에 있는 것들보다 자신이 정복할 수 없는 먼 곳에 있는 것에 더 관심을 기울이는 성향이 있다. 물론 이렇게 오래된 생물들을 잘 보호하고 보존하려는 이들이 없는 것은 아니나 많은 곳에서 보호받지 못하고 집단 이익의 희생이 되고 있는 생물들을 생각해보면 저자의 프로젝트 기획의도를 이해하게 된다.


   얼마전에 나무에 관한 책을 한권 읽었는데, 거기에서 다룬 나무들이 이 책에 등장하는 걸 보고 반가운 마음이 들었다. 저자가 찾아낸 오래된 나무나 생물의 군락은 크기가 거대한데다가 최소한의 장비만을 가지고 어렵게 촬영한 사진들이라서 아쉽게도 전체의 모습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사진들이 별로 없다. 어떤 생물은 가까이 가는게 허락되지 않기도 하고 어떤 것들은 아예 근처에도 가보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그러다 보니 다른 책에서 보았던 나무의 세밀한 일러스트들이 도움이 되었다.


   오래된 생물들의 생존하려는 의지는 놀라웠다. 개체가 몇개 없는데다 멀리 떨어져있는 어떤 나무는 무성생식으로 끊임없는 자가 복제를 통해 존재를 유지하기도 하고 험난한 환경에 있는 나무는 개체 전체의 생존을 위해 필요하지 않은 시스템은 닫고 제한된 영양분으로만 살아가기도 한다. 또 어떤 개체는 건조하고 불이 잘 나는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해 몸통을 땅에 묻어버리기도 한다. 우리가 볼 수 있는 부분은 나무 꼭대기의 가지와 잎사귀뿐이다. 즉 불이 나더라도 토양이 자연 방화벽 역할을 해서 다시 회복이 가능한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놀라운 생존전략을 지닌 개체들이 인간의 개입으로 멸종해가고 있다. 지금 코로나19로 인해 수많은 인간들이 죽어가는 반면 자연은 되살아나고 있다는 역설이 이를 증명해준다. 자연에게 강요된 '인간의 가치'는 인간의 오만함을 반영한다. 아마도 지구의 오랜 주인들인 그들은 인간을 보며 금방 없어질 존재들의 오만방자함을 비웃고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디스토피아를 다룬 문학이나 영화가 마냥 가상의 허구만은 아닐 것이다. 진짜 디스토피아가 오기 전에 우리보다 훨씬 오랫동안 지구에 살고 있는 생명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보자. 인간이 살 길이 그들의 이야기를 듣는 것이라면 그보다 더 쉬운 것이 어디있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