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 유럽 - 도시와 공간, 그리고 사람을 만나는 여행
조성관 지음 / 덴스토리(Denstory)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럽은 세계 대륙 중 내가 가장 애정하는 곳이다. 물론 아직 가보지 못한 대륙 2개가 남아있고 대륙 안에서 가보지 못한 무수히 많은 장소들이 있지만 지금까지는 유럽이 단연 꼭대기를 차지한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는 바로 '이야기'가 아닐까. 유럽이 품고 있는 수많은 이야기들을 현재에도 고스란히 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이야기에는 인류 문명과 예술의 발전 같은 거창한 이야기 뿐만 아니라 커피가 마시고 싶어 카페에 들어갔더니 우리나라에서는 이순신 장군이 태어나기도 전에 생긴 카페더라랄지, 동네 공원인 줄 알고 갔는데 쇼팽 묘지가 있더라랄지, 축구장만한 크기의 땅에 2711개의 콘크리트 열주들이 세워져 있어 봤더니, 자신들의 잘못을 반성하고 사죄하기 위해 만들어 놓은 홀로코스트 추모공원이었다랄지 같은 사소한 듯 하면서도 깊은 놀라움을 안겨주는 것들이 포함된다.


   이 책은 파리, 빈, 프라하, 런던, 베를린, 라이프치히, 이 6개 도시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는데 저자의 기존 저작물인 '도시가 사랑한 천재들' 시리즈에 모두 담지 못하고 남은 자투리 이야기들로 펴낸 책이라고 말한다. 자투리 이야기라고 해서 대충이라거나 재미가 없다거나 하는 건 아니지만 아무래도 이미 가지고 있는 범위 안에서 구성하다보니 약간 하다 만 이야기 같은 느낌이 들 때가 있다. 도시들의 이야기를 시작하면서 그 도시들이 배경이 되는 영화가 먼저 등장하는데 마지막 도시인 '라이프치히'는 관련 영화가 없다. 꼭 영화를 포함시키지 않아서가 아니라 왜 라이프치히였을까라는 느낌? 런던에서는 왜 굳이 닐슨 제독 이야기만 있어야 할까? 파리와 빈에서 카페와 묘지 이야기가 중심이었다면 런던에서는 펍이 나왔을 수도 있지 않을까? 이런 사소한 아쉬움들이 느껴지는 책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미있는 책이다. 특히 영화와 여행은 원래 찰떡 궁합인 소재인지라 소개된 영화도 보고 실제 여행지에 다녀도 온 사람이라면 다시 짐을 싸고 싶은 충동이 생기거나 영화라도 한번 더 봐야 마음이 안정될 지도 모르겠다. 유럽 곳곳에 숨어있는 작은 이야기들로 운동화끈을 단단히 매어놓았다가 언제라도 달려갈 수 있는 준비를 해두는 것도 좋겠다. 아무리 글로벌 시대이고 집에 앉아 클릭 몇번으로 보지 못하고 살 수 없는 것들이 별로 없다고는 하지만 직접 가지 않고서는 알 수 없고 느낄 수 없는 것도 있는 법이다. 언젠가 출발할 나만의 유럽을 위해 #언젠가유럽 으로 나만의 테마를 정해보면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