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시대, 식품 미신과 과학의 투쟁 - 2021 상반기 세종도서 교양부문
에런 캐럴 지음, 김홍표 옮김 / 지식공작소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은 먹는 것에 열광하면서도 정작 음식이나 먹거리에 대한 명확한 잣대나 철학을 가지고 있지는 않는 듯 하다. 물론 건강한 음식, 몸에 이로운 음식을 먹어야지하는 막연한 생각은 있지만 회사에서 동료들과 점심으로 뭘 먹을까 고민할 때 그 식당이 어떤 재료를 쓰고 어떻게 맛을 내는지 고민하고 가지는 않는다. 반면 집에서 음식을 하려고 장을 보러 가서는 유별나게 이것저것 따지면서 유기농인지 친환경인지 혹은 화학첨가물이 들어가있지는 않은 지 한번 더 식품 성분을 쳐다보게 된다. TV의 각종 건강 혹은 교양 프로그램에서 의사나 약사들이 나와서 뭐가 몸에 좋다더라, 암이나 성인병 혹은 비만을 예방한다더라 라는 말 한마디에 다음 날 그 재료들이 품절 사태가 나고 각종 홈쇼핑에서는 그 재료가 들어간 식품들을 판매하기 시작한다. 그러다가 아..사실은 그게 아니고 무슨 부작용이 있다더라 라는 뉴스가 나오고 그러면 그 식품이나 재료는 오명을 뒤집어 쓴 채 매장당하고 만다.


   이 책은 그런 일련의 과정에서 난도질을 당한 경험이 있는 대표적인 식품 혹은 성분 11가지를 선별하여 그들의 오명이 공정한 과학적 근거가 아닌, 편파적이고 신뢰성 낮은 과학의 탈을 뒤집어 쓴 근거들에 의한 것이며 잘못된 정보나 미신 등에 의해 먹는 즐거움을 빼앗기는 일 없이 음식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저자가 선택한 11가지 식품은 '버터(지방), 고기, 달걀, 소금, 글루텐, 유전자변형농산물, 술, 커피, 인공감미료, 화학조미료(MSG), 그리고 비유기농 식품'이다.


   저자는 우선 이 11가지의 식품(혹은 성분)들이 어떤 근거로 오명을 쓰게 되었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과학적 실험이라는 것이 어마무시한 양을 작은 쥐에게 주사로 주입한 결과라거나 혹은 대조군 실험의 대상이 된 두 집단에 속한 표본들의 건강상태나 신체 조건을 무시한 실험이었다라거나 고작 일주일동안 열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이었다거나 그리고 그 연구 자금의 뒤에는 거대한 식품회사가 있었다라는 등의 이야기이다. 그에 더해 우리가 과학적 근거라는 기사나 뉴스를 접할 때 어떤 점을 염두에 두고 그 사실을 받아들여야 하는지에 대한 충고도 잊지 않는다. 음식에 대한 철학을 세우는 것이 중요한 이유이다.


   한가지 유의할 점은 저자는 온전히 식품이나 성분의 논란에 대해서만 언급했다는 점이다. 윤리적 혹은 도덕적 관점은 철저하게 배제되었으니 그 점은 오해가 없어야 할 듯 하다. 그 부분은 개인의 선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