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판본 한중록 (패브릭 양장) - 1795년 오리지널 초판본 표지디자인 ㅣ 더스토리 초판본 시리즈
혜경궁 홍씨 지음, 박병성 옮김 / 더스토리 / 2020년 3월
평점 :
나에게 조선왕조 500년 역사 속에서 개인에게 닥친 가장 비극적이고 불운한 사건을 들라하면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죽은 사건인 임오화변을 주저없이 꼽겠다. 하지만 그저 사도세자가 미쳐서, 아비였던 영조가 잔인해서 그리 되었다는 생각만 했을 뿐 왜 그런 비극으로 결론날 수 밖에 없었는지에 대해 숙고해 본 건 몇년 전에 개봉되었던 영화 한편 때문이었다. 그 후 언젠가는 <한중록>을 읽어봐야지라는 마음만 있었는데 '요즘 책방: 책 읽어드립니다' 덕분에 드디어 손에 들게 되었다.
혜경궁 홍씨의 <한중록>은 학창시절 국어시간에 궁중문학의 백미라는 말만 듣고 외우기만 했지 그 내용이 임오화변의 비극을 다루고 있다는 사실은 전혀 몰랐다. <한중록>은 혜경궁 홍씨가 회갑이 되던 정조 19년이 되는 해인 1795년에 처음 기록하기 시작했으니 그녀의 회고록인셈이다. 친정 조카의 요청으로 집필을 시작하기는 했으나 아마 그녀 역시 그동안 마음에 한으로 쌓아둘 수 밖에 없던 이 전대미문의 비극의 진실을 토해내고 싶었을 것이다. 특히 정조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어린 순조가 왕위에 올라야만 했을 때는 임오화변을 둘러싼 여러 사건들과 그로 인해 자신의 친정에 불어닥친 억울한 화와 누명을 순조에게 알리려는 목적으로 회고록을 쓴다는 그 목적을 분명히 하고 있다.
혜경궁 홍씨는 사도세자가 그리 된 비극의 원인을 아버지인 영조와의 관계에서 찾는다. 가까이 두고 있으면서 올바른 교육을 시켰다면 달라졌을 것이라는데, 실제 영조는 사도세자가 태어난 지 얼마되지 않았는데 아이를 돌아가신 형님이었던 경종의 계비가 있던 저승전에 두었고 장희빈이 인현왕후를 저주하던 집을 소주방으로 만들어 음식을 만들도록 했다. 게다가 경종을 모시다 나간 내인들을 사도세자에게 붙이니 결국 그 내인들이 사도세자의 어린 시절을 좌지우지하도록 방치한 셈이다. 그토록 애지중지하던 아들을 왜 그런 곳에 보냈을까라는 건 무수리의 자식이었던 영조가 형이었던 경종을 독살하고 왕위를 찬탈했다는 소문을 무마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편이었을 것이라는 것이 가장 설득력있는 가설이다. 아뭏튼 자신의 왕위를 이을 적통인 아들을 그렇게 방치해놓은 점은 생각지 않고 본인의 그 엄하고 까다로운 기질에 맞지 않는다고 신하들 앞에서 흉을 보고 창피를 주고 인간적인 모욕을 서슴치 않으니 지금 생각해도 삐뚤어지는 건 당연한 일이다. 결국 이러한 상처가 쌓이고 쌓여 사도세자는 마음의 병을 얻게 된 것이다. 원인이야 어찌되었든 사도세자가 왕권을 이어받아 나라를 다스릴 수 없다는 사실은 명확했다. 그런데 그 최후가 왜 꼭 뒤주여야만 했을까. 그 점은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도 용서도 되지 않는다. 그러니 그 모든 걸 지켜본 혜경궁 홍씨와 정조는 어떤 마음이었을까.
혜경궁 홍씨 본인의 친정에 닥친 화의 억울함을 호소하는 글은 어느 정도 정치성을 감안해서 읽는다고 하더라도 <한중록>은 역사가 차마 (혹은 일부러) 기록하지 못한 이면을 직접 그 일을 겪은 사람이 기록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는 작품이다. 역사를 알면 알수록 수많은 부질없는 '만약'이라는 말을 하게 되는데, 임오화변 비극의 본질을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에서 찾았던 혜경궁 홍씨의 통찰만큼 '만약'이 간절한 경우가 또 있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