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기록
마르티나 도이힐러 지음, 김우영 옮김 / 서울셀렉션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진이 디지털화되면서 지금은 누구나 사진을 찍는다. 자신의 소소한 일상을 찍어 얼굴도 모르는 이들과 공유하는 세상이다 보니 기록이라는 것이 얼마나 가치가 있고 믿을만한 것인지 사실 의문이다. 되려 왜곡되고 변형되고 편집된 사진들은 오해를 일으키고 거짓을 믿게 한다. 한마디로 사진의 순수함이 사라져 버렸다.

 

   그런 의미에서 이 <추억의 기록>은 순수함의 기록이라고 보여진다. 스위스에서 태어난 저자는 하버드대에서 한국과 관련된 논문을 쓰라는 지도교수의 권고로 도서관에서 이런저런 자료를 찾아보던 중 자신이 찾고 있던 자료가 한 한국인에 의해 대출된 상태라는 걸 알고 그 인연으로 한국 남자와 결혼하게 된다. 하지만 시대는 1960년대. 독재정권의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결국 남편은 별세하고 저자 홀로 연구와 시댁 방문을 위해 1967년에 처음 그리고 70년대에 또 한번 이렇게 한국을 찾게 되는데, <추억의 기록>은 그 때 담았던 3천여장의 사진들을 정리하여 회고 형식으로 발표한 사진을 통해 그녀가 바라본 50년 전의 한국이다.

 

   그녀의 시댁은 경북 어딘가의 양반 가문이었던 듯 하다(아마도 안동의 양반 가문들 중 하나였지 싶다). 그래서 당시 양반가문에서 행하던 각종 의식들 그러니까 제례나 유교적 의식들을 관찰하고 기록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으며 일반적인 시골의 풍경이나 마을 풍습들과 동제 그리고 만신의 굿에 이르기까지, 지금으로서는 기록조차도 찾아보기 어려운 우리네 예전 의례나 풍습 등을 꾸며내지 않은 본 모습 그대로 담아내었다. 그 중에는 그녀의 기록만이 유일한 사료인 의식들도 있다고 하니 한 사람의 외국인이 그저 호기심으로 찍은 사진들이라고 치부하기에는 귀중한 기록들인 것이다. 남편과는 아주 짧은 결혼생활이었지만 남편의 고국과 이렇게 긴 인연을 이어가면서 50여년이 지난 이후에도 그 기억을 소환할 수 있다는 건 얼마나 행복한 것일까. 사진도 사진이지만 그녀가 쓴 영어 원문의 글이 번역문과 함께 담겨 있으니 (번역도 훌륭하지만) 번역이 다 하지 못한 그녀의 이야기를 원문으로 느껴보는 것도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