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에 간 물리학자 - 명화에서 찾은 물리학의 발견 미술관에 간 지식인
서민아 지음 / 어바웃어북 / 202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미술관에 간 OOO' 시리즈는 나올때마다 챙겨보고 싶은 책이다. 지금까지 화학자, 수학자, 의학자, 인문학자 시리즈가 나왔는데 수학자와 화학자만 읽었다. 전공과 교양의 경계 사이에서 그림을 좋아하는 독자들을 뿌듯하게 하는 그런 책이다. 이번에는 물리학이다. 과학 중에서 내가 가장 어렵게 생각하는 분야인데, 생각해보면 물리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빛, 입자, 파동, 원자, 양자역학 등의 개념이 미술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 당연해보인다. 비록 화가들이 비교적 최근에 발견된 미시세계에 대한 지식은 없었다 하더라도 빛과 색을 이해하고 자연현상을 탐구하는 능력은 과학자 못지 않았을 것이다.

 

   사실 내가 이 책을 처음 보았을 때 기대했던 내용은 책의 마지막 부분 '물리학으로 되돌린 그림의 시간'에 담겨있다. 수없이 덧칠해진 그림 아래에는 어떤 그림이 숨어있을까? 현대의 과학은 훼손된 그림을 복원하는데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까? 위조된 그림과 진품은 어떻게 구별할까? 수세기 전에 사용된 물감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등등 그림의 일차적 감상이나 작가의 의도가 담긴 이차적 상징을 파악하는 것을 넘어서 그림의 본질에 숨겨진 어떤 비밀을 밝혀내는 듯한 흥미진진함이 돋보이는 파트이다. 책의 앞부분은 그림을 통해 알 수 있는 당시의 기후상황, 그림이 그려진 시대에는 알 수 없었지만 후대의 과학기술이 밝혀낸 빛과 색의 비밀, 그림을 더욱 생동감 있고 입체적으로 보이게 하는 원근법과 소실점의 등장, 인상주의 화가들의 자연에 대한 인상의 원리 등 그림을 통해 보는 물리의 법칙? 정도로 이해하면 될 듯 하다.

 

   책을 읽으면서 신기했던 부분은 과학분야에서 새로운 이론이 발견되고 검증될 수록 예술 분야도 그에 맞추어 변화한다는 사실이었다. 종교적 내용이 담긴 그림들을 제외하면 일반적으로 그림이란 눈에 보이는 것을 그리는 것이었다. 인물을 그리고 사물을 그리고 풍경을 재현한다. 그러다가 빛에 의해 자연의 인상이 달라보인다는 것을 인식하고 자연에서 순간에 받은 인상을 그리기도 하고 색의 병치혼합을 그림으로 나타내기도 했다. 더 나아가 사람의 마음과 정신을 표현하는 그림이 등장하고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를 그리기까지 한다. 책에서 인용한 헤세의 '데미안'에 나오는 유명한 구절, "새는 알을 깨고 나온다. 알은 세계다. 태어나려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파괴해야 한다" (p310)처럼 기존의 규범과 가치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과학과 미술은 그렇게 나란히 발전해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여전히 우리가 알지 못하는 영역이 존재한다. 무지에 대한 자각을 양분삼아 현대 물리학과 현대 미술이 앞으로 어떤 마법을 보여줄 지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