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모두 별에서 왔다 - 138억 년 전 빅뱅에서 시작된 별과 인간의 경이로운 여정 ㅣ 서가명강 시리즈 9
윤성철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월
평점 :
내가 서울대 근처에도 안가봤어도 서울대에서 하는 인기있는 교양과목을 들을 수 있다? 도강도 아니다. 바로 서가명강에서는 이렇게 현직 서울대 교수들이 진행하는 흥미로운 교양강의를 선정하여 책으로 출판하고 있다고 한다. 난 이 책이 처음인데 이미 8편의 전작이 있었다. 분야도 과학뿐만 아니라 수학, 사회학, 철학, 정치학 등 두루두루 있고 책뿐만 아니라 유투브나 팟캐스트도 있다하니 식상한 말이지만 참 세상 좋아졌다라는 소리가 절로 나온다.
제목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이 이번 강의는 천문학이다. 천문학이란 우리가 사는 세상의 기원을 저 우주에서 찾아내려고 하는 학문이라고만 생각했는데 가만 생각해보면 인간을 비롯하여 모든 사물은 원자나 원소로 이루어져있으니 '우리는 모두 별에서 왔다'라는 표현이 낭만적인 문학적 상상력의 산물이 아닌 과학적 증거에 바탕을 둔 사실이라는 것이 새삼 놀라운 건 아니다. 그럼에도 과학자의 입에서 이런 로맨틱학 문장을 듣든 것이 쉽게 경험할 수 있는 일은 아닐 것이다.
기본적으로 이 책은 교양과학서이다. 그래서 별과 인간의 관계를 가장 작은 단위인 분자선에서 이야기하다보니 아무리 교양서라지만 무지한 대중으로서 좌절하는 순간이 가끔 찾아오기는 한다. 하지만 그럴때마다 곳곳에서 혜성처럼 등장하는 친절한 부연설명과 문학적, 철학적 표현들이 왜 내가 다른 과학분야 중에서도 유독 천문학을 좋아하는지에 대한 대답에 끝까지 다가갈 수 있도록 다독여준다.
환경오염이니, 이상기후로 인한 지구 온난화니, 전쟁이니...등과 같은 변수가 없다고 하더라도 우리의 에너지원인 태양은 50억년 후에 마지막을 맞이할 것이다. 거기에서 나온 엄청난 폭발로 인해 지구는 어차피 녹아내려 우주공간으로 분해되고 그와 더불어 인간들 역시 자신들이 태어났던 우주에서 새로운 별의 탄생을 위한 존재로 소멸하게 될 것이다. 나는 이 종말론이 가장 마음에 든다. 인간이 상상할 수 있는 그 어떤 디스토피아보다도 내가 소멸해 새로운 별의 탄생을 위한 원소가 되어 우주를 떠돌게 된다는데 이보다 멋진 소멸의 시나리오는 없을 것 같다.
우주가 경이로운 존재라면 인간을 비롯 이 행성의 모든 것이 경이로운 존재다. 그러니 인간들이여, 겸허해질지어다. 어쩌다 우리는 인간이 되었을 뿐이니 만물의 영장인 것처럼 굴지 말지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