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떨림과 울림 - 물리학자 김상욱이 바라본 우주와 세계 그리고 우리
김상욱 지음 / 동아시아 / 2018년 11월
평점 :
김상욱 교수는 <알쓸신잡>이라는 프로그램 덕분에 알게 되었는데 최근에는 <요즘 책방 : 책 읽어드립니다>에도 전문가 패널로 출현하곤 한다. 물리학자인데도 물리학 관련 분야보다는 오히려 미술이나 문학 등 인문학 패널로 많이 출현하고 뭔가 어려운 현학적 표현을 무기로 내세우지 않고 알기 쉽고 편하게 이야기를 술술 하는 스타일이라 뼈속까지 문과인 나로서는 호감이 갈 수 밖에 없는 과학자이다.
그럼에도 '물리'라는 단어가 주는 심리적 거리감 때문에 이분의 저서를 한권도 읽어보지 않았는데, <떨림과 울림>이라는 어딘지 문학의 향기가 폴폴 풍기는 이 책은 읽어봐도 괜찮지 않을까라는 생각으로 도전해보았다. 물론 그 생각은 근자감임이 드러났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물리를 과학자의 입장보다는 인문학자 혹은 철학자의 표현을 많이 담은지라 멈추지 않고 재미있게 읽어나갈 수 있었다. 그러니까 이런식이다. '떨림과 울림'이라는 제목부터가 문학적인데 거기에 울림을 설명하면서 내가 '레미제라블'에서 가장 좋아하는 'Do you hear the people sing?' 이라는 노래를 예로 들고 '최소 작용의 원리'를 이해시키기 위해 테드 창의 <네 인생의 이야기> 속 헵타포드를 인용하고 '위상수학'을 설명하면서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튀어나온다. 이런 책을 좋아하지 않을 수는 없다.
빛, 시공간, 중력, 양자역학, 에너지, 엔트로피 등 물리학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개념들을 과학자가 아닌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설명하려는 저자의 마음이 느껴지는 책이다. 과학이란 뽐내는 지식이 아니라 '무지를 인정하는 태도'이며 그래서 '확신보다는 의심'의 성향이 강하기 때문에 과학에 대한 관심은 우리 사회를 좀 더 합리적이고 발전적으로 만들게 된다는 저자의 결론 역시 따뜻하다.
* 한가지...<네 인생의 이야기>에서 주인공의 딸은 병이 아니라 사고로 죽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