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미국 미술 - 현대 예술과 문화 1950~2000
휘트니미술관 기획, 리사 필립스 외 지음, 송미숙 옮김 / 마로니에북스 / 2019년 11월
평점 :
절판


   여전히 나에겐 '미술'이라는 단어는 유럽을 떠올리게 한다. 르네상스의 중심지었던 이탈리아, 고대 로마와 그리스를 재현한 작품들, 이후 바로크 로코코 그리고 인상주의와 사실주의까지 네덜란드와 프랑스가 주도권을 갖게 된다. 예술과 낭만의 도시하면 저절로 파리가 떠오르고 내가 생각하는 아름다운 그림에 미국이 설 자리는 부족하다. 하지만 세계 제1, 2차 대전은 미술의 주도권이 미국으로 넘어오게 되는 결정적 계기가 된다. 오랜 전쟁으로 유럽은 피폐해지고 예술가들은 표현의 자유를 억압받는다. 유럽의 많은 예술가들이 미국으로 망명하고 전쟁으로 피해를 입지 않은 미국의 자유와 부에 힘입어 미국의 예술과 예술가들은 유례없는 호황을 누리게 된다.

 

   이 책은 1950년 이후 전후 미국 미술계의 도약을 시작으로 2000년까지 20세기 미국미술을 담았다. 특히 휘트니 미술관이 기획하고 전시했던 작가들의 작품들을 포함하였는데 각 시대별 미국을 대표했던 이념과 그 이념의 다른 쪽에서 바라본 미국의 모습을 고스란히 반영한 미술의 자취를 담아낸 엄청난 작업의 결과물이다. 각 시대를 관통하는 미술뿐만 아니라 건축, 음악, 연극, 영화 등 예술의 다른 영역들은 어떻게 시대를 반영했는지에 대한 통찰도 포함한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초강국 대열에 입성한 미국의 예술가들이 유럽 전위미술가들의 영향을 받아 발전시킨 추상표현주의부터 시작해 냉전의 시기를 거치면서 검열의 대상이 되었던 시기, 겉으로는 아메리칸 드림을 외치지만 정작 드림 근처에도 가보지 못한 소외된 계층이 발산하던 반항의 정신이 이룩한 문화 혁명의 시기, 풍요로운 베이비 붐 세대의 십대들이 중요한 물질적 문화적 소비계층으로 떠오르면서 로큰롤과 비트 그리고 스윙과 재즈가 질주하던 1950년대. 규범이 붕괴되고 사회적 가치가 도전을 받고 베트남전으로 인한 반전 시위가 확대되면서 페미니즘으로 여성미술가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미니멀리즘이 탄생하는 1960,70년대. 사진과 영화의 등장으로 새롭게 예술의 개념이 정립되고 포스트모더니즘이 등장하는 1980년대, 그리고 밀레니엄을 앞두고 전 세계의 미국화가 가져온 글로벌 문화의 소비와 테크놀로지의 발전으로 디지털 혁명이 가져온 1990년대의 예술까지 총 망라한 어마어마한 책이다. '현대 미술'하면 왜 유럽이 아니라 미국을 떠올릴 수 밖에 없는지, 20세기를 왜 '미국의 세기'라고 부를 수 밖에 없는지에 대한 대답이 책 속에 들어있다. '현대 미술의 파노라마'라는 표현이 완벽하게 어울리는 저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