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기예찬 - 다비드 르 브르통 산문집 예찬 시리즈
다비드 르브르통 지음, 김화영 옮김 / 현대문학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인에게 걷는다는 건 노력해야 하는 것이다. 일부러 마음을 먹어야만 우리는 걸을 수 있다. 물론 자가용이나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중간중간, 혹은 점심 먹으러 움직이는 것이 고작이다. 오죽했으면 만보계라는 것이 나왔을까. 하루에 만보도 걷지 못하는 우리에게 <걷기 예찬>은 과하다. 나도 걷기를 좋아하지만 출근을 하는 평일에는 걷는 시간을 다 합쳐보았자 한시간을 넘지 못한다. 그것도 좌우로 높은 빌딩들이 늘어선 좁은 인도를 걷는 것일 뿐, 신선한 공기를 들이마실 수 있고 싱그런 초록이나 예쁜 색으로 물든 단풍 같은 계절 감각을 느낄 수 있는 장소는 찾아보기 어렵다.

 

   저자는 걷는다는 것은 '가장 인간적인 몸짓'이라고 말한다. 육체적 에너지보다 신경에너지를 더 많이 소모하는 현대인들에게 과연 인간의 두 다리, 두 발이 어떤 의미인지 묻는다. 두 발을 써먹을 기회가 너무 드물어서 나중에는 처치곤란이 되어 가방 속에 담아 한쪽으로 치워놓게 되지 않을까라는 싸한 이야기도 던진다. 저자는 루소나 데이비드 소로, 피에르 쌍소 같은 자연주의 소설이나 산문을 쓴 사람들의 이야기를 많이 인용하는데, 특히 소로는 최소한 하루에 네 시간을 걷지 않으면 건강과 온전한 정신을 유지하지 못한다고 하면서, '상점이나 사무실에 하루종일 틀어박혀 지내는 사람들의 참을성과 정신적 무감각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라고 말한다.

 

   '걷는 것' 하나로 이토록 많은 이야기를 풀어낼 수 있다니, 대단한 사람이다. 걷는 다는 것은 단순히 두 다리를 움직이는 것 이상이다. 걷는 다는 것은 육체의 모든 감각을 열고 세상을 온몸으로 받아들인다는 뜻이다. 걸으면서 맛보게 되는 세상의 맛을 이야기하고 걷기를 좋아하고 중요시했던 작가들의 멋진 문장들을 인용한다. 자연에서 걸을 수 없다면 획일화된 풍경을 지닌 도시에서는 어떻게 걸어야 할것인지, 걷기가 우리의 정신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등등 에세이지만 철학적이기도 하고 소설 같기도 하다. 저자가 보내는 걷기로의 초대를 즐거운 마음으로 받아들이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