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라파고스 에프 모던 클래식
커트 보니것 지음, 황윤영 옮김 / F(에프) / 2019년 9월
평점 :
절판


 

   하아...커트 보니것은 이런 작가였던가. 이전에 읽었던 그의 단편들은 호불호가 있었다. 사실 어떤 작가의 단편이건 나에겐 호불호가 있기는 했지만 거기에 커트 보니것 식의 블랙 유머와 냉소가 더해지다보니 더욱 그런 성향이 분명했던 것인데, 이번 <갈라파고스>는 완전 내 스타일이다! 어쩜 그렇게도 일관되게 인간이 지니고 있는 '커다란 뇌'에게 모든 죄를 뒤집어 씌울 수 있다니...이건 뭐 그 어떤 유능한 변호사도 우리의 뇌를 커트 보니것이 주장하는 각종 죄로부터 구원할 수 없으리라.

 

   응? 이게 무슨 뜬금없는 소리냐는 분들을 위해서 잠깐 설명을 드리자면, '이야기의 전모는 이러하다'. 이 목차에서부터 커트 보니것의 천재성이 드러난다. 소설의 전지적 작가시점을 책임지고 있는 서술자는 백만년 전인 1986년, 당시의 인류가 새로운 진화로의 도약을 앞둔 시기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1986년, '세기의 자연 유람선 여행'을 위해 건조된 바이아데다윈호가 에콰토르 과야킬 항구에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정박해 있다. 한때는 갈라파고스를 향한 '세기의 자연 유람선 여행'에 전 세계의 유명 인사들이 예약을 했으나 세상에 닥친 각종 위기와 재앙 중 마지막을 장식한 금융 위기 때문에 취소가 잇따른다. 하지만 과야킬의 엘도라도 호텔에는 다른 이유로 여전히 유람선 여행을 기대하며 여섯 사람이 숙박 중이다. 이 여섯 사람 중 일부는 얼마 후 불임으로 더 이상 후손을 생산할 수 없는 인류가 멸종하면서 뜻하지 않게 바이아데다윈호에 탑승하여 갈라파고스 제도의 산타로살리아섬에 고립되면서 신인류의 조상이 되는 영광을 누리게 되는데, 작가는 이 서술자를 통해 '이야기의 전모는 이러하다'라는 식으로 독자들을 애태우며 이야기를 감질나게 던져준다. 어찌보면 마르케스가 주로 사용하던 주술적 어조의 '마술적 사실주의'와도 비슷하다고나 할까.

 

   만물의 영장이요, 천부인권설을 주장하는 호모 사피엔스의 시대가 가고 사피엔스의 커다란 뇌는 모든 악행의 근원이요 치명적인 결함으로 여겨진다. 자연은 호모 사피엔스를 버리는 대신 뇌도 더 작고 수명도 짧고 지느러미로 물고기를 잡아먹는 새로운 인류를 선택한다. 이것은 진화인가 퇴화인가. 여기서 커트 보니것의 냉소적 블랙 유머가 빛을 발한다. 거기에 마지막 인류가 개발한 통역기인 만다락스가 뿜어내는 문학 작품 속 인용문은 촌철살인이요, 백만년동안 일어난 모든 일을 알고 있는 전지적 시점의 서술자의 정체는 식스센스급의 반전을 선사한다. 이렇게 독창적이고 뜬금없으면서도 재미있는 SF는 또 처음이다. 갈라파고스 제도는 다윈이 진화의 증거를 발견했다고 여겨지는 장소이고 지금도 여전히 그곳에서만 서식하는 생물들이 존재한다. 그곳이 새로운 인류의 탄생이 이루어지는 제2의 아라라트 산이 된다는 사실이 아이러니하면서도 당연하게 생각된다. 인류의 커다란 뇌가 불러오는 크나큰 재앙에도 불구하고 작가는 어떤식으로든 인류가 새로운 삶을 시작하도록 우연을 가장한 구원의 행운을 여기저기 뿌려놓는다. 그리하여 백만년이 지나도 인류는 비록 지금과 다른 모습이긴 하지만 자연선택을 거스르지 않는 방식으로 살아남는다. 베토벤 교향곡 9번을 작곡할만한 능력이 없다는 것만 제외하면 그다지 아쉬울 것 없는 자연법칙에 의해 선택된 존재로 말이다. 그러니 베토벤 교향곡 9번과 셰익스피어 없이 못사는 인간들이라면 하루 빨리 정신차려야 할 것이다, 지느러미로 물고기만 잡아먹고 살아가는 신인류가 되고 싶지 않거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