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호의 죄 - 범죄적 예술과 살인의 동기들
리처드 바인 지음, 박지선 옮김 / 서울셀렉션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술과 범죄'는 꽤나 서로 잘 어울리는 단어다. 비싼 예술품들을 둘러싼 도난 사건이나 사기 행각이 많아서인지, 둘 다 어딘지 지하 세계의 음침한 면이 있어서인지, 예술가들의 기행적인 행동들이 생각나서인지, 아뭏튼 예술은 느와르 장르와 궁합이 잘 맞는 것 같다. 무대는 온갖 예술품의 전시와 거래가 이루어지는 화랑 밀집지역인 뉴욕의 소호. 소호는 원래 공장, 창고 지구였던 곳인데 가난한 예술가들이 불법으로 거주하다가 로프트라는 이름의 공간으로 거듭나면서 예술가들이 생활도 하고 작품도 제작하면서 발전하게 된 지역이다. 소호의 태생이 그러하다보니 그곳을 중심으로 한 예술계의 실상이 아름답지만은 않다는 것이 당연하게 생각된다.

 

모든 예술 작품은 저지르지 않는 범죄다 - 테오도르 아도르노 (책에서 재인용)

 

   책의 첫장에서 존재감을 자랑하는 문장인데, 소설 속에서 예술이라는 이름으로 자행되는 추잡한 일들과 예술가를 자처하고 그들의 작품을 포장하는 딜러들의 민낯을 제대로 표현해주는 경구라고 할 수 있다. 사건은 예술계를 좌지우지하는 역대급 미술품 컬렉터 부부인 필과 맨디의 신상에 변화가 일어나면서 전개된다. 부인인 맨디가 머리에 두발의 총알을 맞아 얼굴이 날아간 채로 자신의 집에서 발견된 것. 그리고 뒤이어 남편인 필이 기억은 안나지만 자신이 부인을 죽인 것 같다며 자백을 해온 것이다. 필은 최근 들어 뇌질환으로 꾸준히 치료를 받았던 것으로 밝혀진다. 필과 맨디 부부와 절친이며 소호에서 유명한 미술품 딜러로 활약하며 부동산 중개업자이기도 한 잭의 시점으로 이야기는 서술된다.

 

   자백으로 명백한 용의자가 된 필이 진짜 살인자일까, 아니면 최근 필의 젊은 애인인 클라우디아일까. 그것도 아니면 필이 맨디와 결혼할 때 버림받은 전 부인 앤젤라일까. 혹은 앤젤라의 애인이었던 폴 모스일까. 살인의 동기가 있을 법한 모든 이들이 의심받는다. 작가는 독자들을 혼란케 만드는 떡밥을 여기저기에 뿌려놓는다. 물론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떡밥은 하나씩 수거되지만 마지막장까지 반전이 있으니 방심하지 마시라. 각종 예술기관에서 큐레이팅을 하고 예술매거진에 기고를 한 경력이 있고 현재 미술 매거진인 <아트 인 아메리카>의 편집장으로 활동하는 작가의 첫번째 소설이라는 타이틀로부터 오는 기대감을 뛰어넘은 작품이었다고 말하고 싶다.

 

* 한가지 거슬렸던 부분은 미켈란젤로의 <최후의 심판>이 천장에 그려져 있다고 나온다. 원작을 보지 않아 어디서 잘못된 것인지 모르겠으나 <최후의 심판>은 천장이 아니라 시스티나 예배당 벽을 장식하고 있는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