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의 감정에 관한 생각 - 동물에게서 인간 사회를 읽다
프란스 드 발 지음, 이충호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19년 8월
평점 :
품절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다'라는 번지르르한 자기도취적인 주장 아래 비상식적이고 비인간적인 일들이 얼마나 일어났는지 기억한다면 여전히 인간이 자연을 포함, 만물을 향해 나는 너희들의 영장이다라면서 군림하고 싶은 생각이 들 수 있을 지 의문이다. 특히 자신의 지적 능력을 특별히 우수하다고 생각하는 호모 사피엔스는 동물이 하는 행동이나 보여주는 감정은 본능에 불과하다라고 치부하고 인간의 내부에 존재하는 동물성을 인정하지 않으려고 한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인간의 그러한 근거없는 자아도취를 동물들, 특히 우리 종과 가장 비슷하다고 여겨지는 영장류의 예를 들어 조목조목 반격한다. 동물 역시 감정을 가지고 있고 과거의 경험을 인지하고 그를 통해 현재의 행동을 결정하며 공감, 감사, 용서, 애도 등 사회적 유대를 증명하는 감정을 행동으로 표현함으로써 인간만이 사회적 동물이 아님을 증명한다.

 

   그러한 증명은 오랜 관찰과 실험을 통해 이루어졌는데, 개인적으로는 관찰과 실험의 에피소드들이 특별히 흥미로웠다. 얀과 마마가 나눈 마지막 포옹이랄지, 카위프의 젖병 수유 학습, 부당한 대우를 받았을 때 반응하는 방식, 동료가 죽음을 맞이했을 때 애도하는 모습, 동료들끼리의 싸움을 중재하는 행위, 서로의 상태에 공감하고 감정을 공유하는 방식 등에 관한 증명들은 이 모든 것이 인간의 전유물이 아니라 모든 포유류가 공유하는 것임을 알려준다.

 

   영장류와 인간이 공유하는 이러한 생물학적 본질의 유사성은 우리가 서로를 이해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한 길을 보여준다. 동물을 감정적 존재로 인정하는 것은 특히 중요하다. 감정은 행동을 촉발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두려움은 위험으로부터 달아나거나 숨는 행위를 유도하고 이는 자신의 목숨을 보존하는데 유리하다. 동물과 인간이 '같은 방식으로 감정을 경험'할지 모른다는 가능성을 받아들이고 인간이 만물의 영장이라는 고루한 오만감을 떨쳐버리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