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집트에서 24시간 살아보기 - 3000년 전 사람들의 일상으로 보는 진짜 이집트 문명 이야기 ㅣ 고대 문명에서 24시간 살아보기
도널드 P. 라이언 지음, 이정민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9년 6월
평점 :
품절
<로마에서 24시간 살아보기>를 재미나게 읽었던지라 이 책도 바로 덥석! 로마~ 리뷰에서도 언급했지만 여기서 24시간 살아보기라 함은 고대 이집트의 24시간을 재구성한다는 뜻이다. 이번에는 신왕국시대의 이집트, 그 중에서도 제18대 왕조인 아멘호테프 2세 재위 12년이 되는 해인 기원전 1414년 경의 이집트인들의 하루를 재현한다. 어떤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등장할지 궁금하다면 우선 목차를 보는 것으로 시작해보자. 100년도 전에 묻힌 왕비의 무덤을 파는 도굴꾼이 제일 먼저 등장한다. 그 다음이 아멘호테프 파라오인데, 이집트 이야기를 하면서 파라오보다 도굴꾼이 먼저라니, 여전히 이집트 왕족들의 무덤은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단골소재인가보다. 다음은 미라를 만드는 장의사, 신을 돌보는 사제, 파라오의 왕비, 가장 천한 일로 간주된 벽돌공, 장례식의 전문 울음꾼 등 당시 이집트에 존재했던 다양한 인물들이 보내는 한시간 한시간이 철저한 고증과 기록을 토대로 공개된다. 게다가 저자가 진짜 고고학자라니 글이 생동감 넘칠 수 밖에.
인류 초기 문명 중 하나인 이집트 문명을 이집트인들의 일상을 통해 거꾸로 짚어나가는 과정이 흥미롭다. 재현 배우들의 실감나는 연기를 보는듯한 직접적이고 유머스런 문장들도 가독성을 높인다. 지금은 일부 왕족들의 무덤을 제외하고는 많은 부분이 사라져버린, 한때 번영과 화려함을 자랑했을 이집트 문명의 하루를 시간별로 쪼개서 보는 재미가 있는데 일반 서민들의 일상은 현재 우리의 모습과 비슷한 부분이 많다는 점이 놀랍다. 특히 인간관계에서 비롯된 인간의 원초적 감정들의 공통점은 이런 감정들이 생존을 위해 유리한 것이라 지금까지 전해져 내려오는 것인가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비슷하다. 중간중간 삽입된 문헌 속 이집트 대한 기록이나 고고학적 발견들을 근거로 한 토막 이야기들도 인상적이다. 고대의 찬란한 문명을 자처했으나 지금은 사라진 혹은 쇠퇴한 고대 국가들의 하루를 재현한 다른 나라 시리즈도 계속 나와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