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수록 다시 보는 서양 조각 100 알수록 다시 보는 서양 100
차홍규.김성진 지음 / 미래타임즈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수록 다시 보는 시리즈가 이번에는 서양조각을 내놓았다. 조각보다는 그림에 더 많은 관심이 있었던 내가 조각을 다시 보게 된 건 약 2년전 떠났던 이탈리아 인문학 여행에서였다. 회화 못지 않게 수많은 조각들과 건축물들로 이루어진 이탈리아의 도시들을 다니면서 조각의 아름다움에 눈을 떴다고나 할까. 시스티나 천장화를 그린 화가로서가 아니고 그토록 아름다운 피에타를 조각한 조각가로서의 미켈란젤로를 만나고 베르니니와 보로미니라는 시대를 풍미했던 경쟁자로서의 예술가들을 만나고 도시 곳곳 그들이 남겨 놓은 흔적들을 찾아 헤매던 날들을 다시 추억하게 해준 책이 바로 '알수록 다시 보는 서양조각 100' 이다.

 

   회화와 조각 중 어느 것이 더 우위에 있는지는 여전히 정답이 없는 논쟁이지만 둘 사이의 가장 큰 차이점 하나는 분명하게 말할 수 있다. 회화는 2차원적인 평면인데 비해 조각은 3차원적인 입체라는 점이다. 이 책은 그런 조각의 특징을 생생하게 담아내었다. 조각 하나하나를 소개할 때마다 앞모습만이 아니라 옆모습, 뒷모습, 아래 혹은 위에서 본 모습 등, 조각의 살아있는 입체감을 독자가 놓치지 않도록 배려하였다. 이렇게 다각도로 바라보는 조각들은 때때로 반전을 보여주기도 하고 완전히 다른 모습, 다른 표정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리스 고졸기 시대의 조각부터 로댕의 생각하는 사람 사이에 놓인 조각의 변천사는 또 하나의 작은 서양문명의 역사라고 볼 수 있다. 내 눈앞에 놓여있는 조각 하나하나에 시대가 담겨있고 정신이 녹아있으며 그들을 창조해낸 인간의 숨결이 서려있음을 알게 된다. 아는만큼 보인다는 진리는 여기서도 통용된다. 여행 전 많은 책들을 읽고 공부한 후, 드디어 마주 친 이탈리아는 너무나 감격스러웠다. 그 때 탐독했던 책들 중 '서양 조각 100'이 있었더라면 더할 나위 없었겠지만 이렇게 책을 통해 그들을 다시 만나니 반가울 뿐이다. 너무 멀어서 보기 어려웠던 작품들의 세부까지 확대해 보여주고, 360도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앞뒤옆 모습 모두를 보여주고 거기에 조각들에 얽힌 에피소드들과 조각들이 온몸으로 담아낸 이야기까지, 그 어느 것 하나 모자람이 없는 완벽한 조각여행의 길잡이가 되어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