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트린느 메디치의 딸
알렉상드르 뒤마 지음, 박미경 옮김 / 레인보우퍼블릭북스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뒤마의 역사허구물인 <카트린느 메디치의 딸>의 원제는 '왕비 마르고(마고)'이다. 그러니까 카트린느 메디치의 딸이자 나바르 왕인 앙리와 결혼한 왕비 마르고이다. 카트린느 메디치는 신교도들의 씨를 말릴 작정으로 신교도의 수장인 나바르의 왕 앙리와 자신의 딸 마르고를 결혼시키는데 결혼식 날은 바로 성 바톨로메오의 축일로 많은 신교도들이 자신들의 왕이자 수장인 앙리의 결혼을 축하하고자 파리로 입성하는데 축복 받아야 할 이 날은 대학살의 날로 역사에 기록된다.

 

   이야기 속에서는 왕비 마르고의 비중보다는 카트린느 메디치나 앙리의 비중이 더 크고 인상적이어서 뒤마가 책의 제목으로 왜 '왕비 마르고'를 택했는지도 궁금하지만 '왕비 마르고'라는 명확한 제목을 두고 '카트린느 메디치의 딸'이라는 제목으로 굳이 변경한 이유 역시 살짝 궁금해진다. 뒤마의 다른 소설들 대부분이 그렇듯 가독성은 뛰어나다. 그리고 역사의 진실을 들여다보면 결코 유쾌하다거나 가벼운 사건들이 아님에도 뒤마는 마치 아주 오래전부터 내려오는 운율 섞인 해학과 유머가 담긴 민담을 쓰는 듯한 느낌으로 어려울 수도 있는 역사 이야기를 통속 소설처럼 표현해 내었다.

 

   이 책은 소설이다. 그러니 진짜 역사를 알고 싶다면 역사책을 뒤적여야 할 것이다. 하지만 소설이란 배경이 되는 시대와 장소와 인물에 대한 작가의 생각을 반영하는 법이다. 당시 프랑스를 비롯 유럽 전역의 왕권을 둘러싼 비열한 음모와 종교적 대립, 왕족 및 귀족들의 문란한 성 관념, 신을 핑계삼은 무자비한 종교적 탄압과 고문, 끊임없는 배신과 불충 등 뒤마 역시 이러한 것들을 각 인물들에 투영하였다고 볼 수 있다.

 

   책은 샤를르 9세가 죽고 그의 동생 앙주가 앙리3세로 즉위하고 나바르의 왕 앙리는 나중을 기약하며 파리를 탈출하는 것으로 끝난다. 실제 앙리는 앙리3세가 죽은 후 앙리4세로 즉위하여 그 유명한 낭트 칙령을 발표하여 신교도와 구교도간의 종교적 화해를 이루게 되지만 여전히 그에게 불만을 품은 카톨릭 교도에 의해 암살당하게 된다. 뒤마의 소설은, 신교도의 수장이었던 나바르의 왕 앙리가 마르고와 결혼 후 카톨릭으로의 개종을 강요당하고 루브르에 갇혀있던 시절, 어떻게든 앙리를 없애고자 했던 카트린느와 주변 인물들의 권력 다툼을 흥미 위주로 서술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