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으로 읽는 중국사 - 중국을 만든 음식, 중국을 바꾼 음식
윤덕노 지음 / 더난출판사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먹방이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침범할 정도로 과한 수준이지만, 사실 음식이라는 것은 시대를 반영하는 문화 키워드이자 사람들에게 위로를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사실이다. 이 범위를 좀 더 확장한다면 현재 한 나라 민족이 먹는 음식에서 과거를 발견하고 그 음식에서 역사를 읽을 수 있다는 의미까지 포함될 수 있다. 그래서 저자는 '중국을 만든 음식, 역사를 바꾼 음식, 그리고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특정 음식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주제로 중국 역사와 버물러진 음식이야기를 수준 높게 풀어낸다.

 

   개인적으로 특히 재미있었던 부분은 한자에 담긴 음식과 식재료에 관한 이야기들과 비슷하거나 같은 발음을 가진 한자를 찾아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해음을 통해 들여다본 문화적, 역사적 배경에 관한 부분이다. 몇가지 예를 들자면, 예전 유목민족이었던 중국인들에게 양은 귀중한 식량이자 재산이었는데 그래서 한자에 양이 들어가는 글자는 다 좋은 의미로 쓰인다고 한다. '진수성찬'의 '수'는 바치다, 혹은 맛있는 음식이라는 뜻이 있는데 '수'의 한자가 '양'과 손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인 '축'이 합쳐진 회의문자로 손으로 양을 들어올려 바치는 모양이 맛있는 음식이라는 뜻이 된 것이고 꿈에 양을 보면 행운이 깃든다고 하는데 '상서로울 상'자는 '양'과 보일 '시'자로 이루어져 있으니 양이 보이면 좋은 일이나 복 받을 일이 생긴다는 뜻이다.

 

   음식이라는 것이 단순히 한 민족의 생활만을 보여주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특정 음식에 대한 수요와 가치의 상승은 당시 정세의 흐름을 보여주기도 하고 실크로드를 통한 동,서양의 교역의 역사, 그리고 대항해 시대의 식민지 활동이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는 식품들을 통해 우리는 역사의 또 다른 이면에 대한 통찰을 얻게 된다.

 

   중국의 음식문화는 우리나라에도 그 흔적이 많이 남아있는데, 사실 그런 음식들이 생겨난 경위나 의미를 모르고 먹는다고 한들 맛있는 음식이 맛없는 음식이 되지는 않을 테지만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기본이 되는 음식의 탄생 배경을 이해하고 음식을 즐긴다면 단순한 먹방에서 벗어나 한 시대를 읽어내는 문화 전달자가 될 수 있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훠궈의 빨간 국물(홍탕)과 하얀 국물(청탕)의 유래와 거기에 담가 먹는 식재료들이 왜 다른지에 대해 궁금했었는데, 이 책을 통해 궁금증이 해소되었을 뿐더러 그 안에 깃든 특별한 의미까지 알게 되었으니 이제 훠궈를 먹을 때마다 역사의 한 페이지를 들여다보는 기분으로 먹을 듯 하다.

 

무릇 예절의 처음은 먹고 마시는 것에서 시작된다

<예기>의 '예운'편, <음식으로 읽는 중국사> p1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