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달 - 제25회 시바타 렌자부로상 수상작 사건 3부작
가쿠타 미츠요 지음, 권남희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은 한 은행의 계약직 여직원이 1억엔이라는 엄청난 고액을 고객의 계좌로부터 횡령한 사건을 다룬다. 사건 자체보다는 그 과정을 이야기한다고 하는 편이 맞을 것 같다. 평범한 삶을 살고 있던 우메자와 리카의 마음 속 어떤 것이 그토록 무모하고 대담한 범죄를 저지르도록 했을까. 소설은 우메자와 리카의 회상을 통해 그 과정을 너무나 담담하게 그려낸다. 1억엔의 횡령이라는 와닿지 않는 거대한 금액과는 달리 사실 그 시작은 5만엔이라는 작은 금액으로부터 시작했다는 것, 그때 그러지 않았더라면 여기까지 오지 않았을까라는 자신이 걸어온 길 곳곳에 장치되어 있던 '만약에'라는 선택을 하지 않았던 자신에 대한 씁쓸한 기억들이 평범하고 쉬운 것처럼 느껴져 리카뿐만 아니라 우리 중 그 누구도 그렇게 되어버릴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그 담담함 속에서 소름끼치게 느끼게 된다. 그리고 우메자와 리카를 기억하는 학교 친구, 요리교실 친구, 옛 남자친구들의 시선을 통해 이런 문제는 사회 전체에 이미 도사리고 있으며 정도의 차이일 뿐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책에는 직접적으로 '종이달'을 언급하고 있지는 않다. 불꽃놀이에서 불꽃이 떠오르면 달이 사라지고 불꽃의 빛이 사라지면 슬슬 모습을 드러내는 깎은 손톱같은 달이 등장하는데 불꽃이라는 화려함이 나의 가짜 모습과 가짜 생활을 가려주다가 그 화려함이 쇠하면 나의 가짜 모습이 드러나고 그걸 견디지 못해 나의 분수를 넘어 새로운 화려함으로 포장하는 가짜 삶에 대한 악순환을 의미하는 것이 아닐까라고 생각해본다. 소셜 네트워크의 좋아요에서 삶의 위안을 찾는 사람들, 나의 실체를 드러내지 않아도 되는 익명의 세상에서 만들어진 나를 내세워 자존감을 찾고자 하는 사람들의 비뚤어지고 지나친 욕망이 점점 더 많은 우메자와 리카를 만들어내는 듯 하다.

 

   나의 분수에 맞지 않는 소비가 결국에는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우리는 누구나 알고 있다. 하지만 한번 발을 들여놓은 돈으로 산 관심과 인정의 세계라는 달콤함에서 내가 원하는 때에 빠져나올 수 있을 것이라는 착각은 쉽게 알게 되지 않는다. 하지만 돈의 노예가 되는 것은 과소비만이 아니라고 작가는 이야기한다. 미래의 안정을 지나치게 생각하느라 절약을 외치며 너무 졸라매며 사는 것도 돈에 휘둘리게 된다는 점을 남의 물건에 손을 대는 유코의 딸을 통해 보여준다. 절약과 저축을 해서 무엇을 얻을 생각이었는지에 대해 대답하지 못하는 유코를 보면서 돈 자체가 목적이 되는 것 역시 돈의 어두운 면 중 하나라는 것을 말하고 있다. 돈을 올바르게 사용한다는 건 어떤 것일까. 어려운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