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밍웨이의 요리책 - 헤밍웨이의 삶과 문학을 빛나게 한 요리들
크레이그 보어스 지음, 박은영 옮김 / 윌스타일 / 2019년 3월
평점 :
절판


   저자는 헤밍웨이에 빠져도 단단히 빠진 사람이다. 그렇지 않고서는 헤밍웨이의 문학작품만 논해도 시간이 부족할 판에 그의 평생에 걸친 식도락 역사와 문학작품 속에서 건져낸 헤밍웨이의 식욕까지 논한다는 것은 보통을 넘어선 팬이라해도 어려울 것이다. 사실 이 책을 읽기 전 마침 헤밍웨이의 <파리는 날마다 축제>를 읽고 있던 중이었는데, 거기에서는 헤밍웨이가 배고픔을 글쓰기를 위한 일종의 원동력으로 묘사하길래 그가 이렇게까지 먹는 것에 관심이 있는 줄은 몰랐었는데, 이 책을 읽고 나니 마치 먹고 마시는 행위에 대한 그의 러브레터를 몰래 훔쳐보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저자는 '헤밍웨이의 삶과 문학을 빛나게 한 요리들'이라는 부제 아래 그의 문학 속 먹고 마시는 일련의 행위가 포함된 문단들을 소개하는데, 알고보면 그의 문학 속에 등장하는 음식과 술들은 허구의 산물이 아니라 실제 헤밍웨이가 먹고 마셨던 것들의 인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인지 묘사가 더 실감나고 생생하게 느껴진다. 심지어 저자는 헤밍웨이 인생의 큰 부분을 차지했던 음식들의 실제 요리가 가능한 요리법까지 세세하게 소개하는데, 더욱 대단한 것은 이 요리법이 헤밍웨이가 실제 다녔던 레스토랑의 조리법을 그대로 가져와 소개하기까지 한다는 것이다. 헤밍웨이의 식도락에 대한 저자의 오마주가 드러나는 부분이다. 물론 요리법이 있다해도 대부분 우리네 음식 문화와는 잘 맞지 않는지라 직접 따라하기에는 녹록치 않은 부분이 많으나 헤밍웨이가 즐겨 먹었던 음식들의 레시피를 공유한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어쩐지 스스로 대견한 기분이 들게 만든다.

 

   문제는 헤밍웨이라는 그 유명한 이름에도 불구하고 내가 정독한 헤밍웨이의 작품은 거의 없다는 것이다. 수시로 등장하는 <무기여 잘 있거라>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는 물론이고 그의 짧은 에세이들도 특별한 이유없이 가까이 하지 않은 작품들이다. 하지만 뭐, 책 읽기의 장점 중 하나는 하나의 책이 다른 책들을 읽도록 유도해준다는 것이지 않을까. 읽고 있던 <파리는 날마다 축제>를 시작으로 헤밍웨이의 작품들을 직접 음미하면서 맛깔스러운 미식의 향연에 즐겁게 동참해 보도록 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